백과사전 상세 본문
이어리 맥진
한의사 ‘맥진(脈診)’으로 알 수 있는 건강 상태
▶
※ 한의사의 대표적인 환자 진찰 방법 ‘망문문절(望聞問切)’
- 망진(望診) : 눈으로 걸음걸이 ・ 안색 ・ 행동을 확인하는 것
- 문진(聞診) : 호흡 ・ 목소리 등을 들어보는 것
- 문진(問診) : 현재 상태, 발병 동기, 증상 등을 자세히 묻는 것
- 절진(切診) : 신체를 눌러보고, 만지며 상태를 살피는 것
▶
※ 절진(切診) 중 가장 대중적인 ‘맥진(脈診)’
- 심장 박동이 느껴지는 곳에 손가락을 얹고 진행
- 인체 구성 기본 요소인 기혈음양(氣血陰陽)의 허실 파악
- 기혈음양은 영양 물질, 에너지 등을 의미
* ‘맥진(脈診)’하는 다양한 신체 부위
- 손목 안쪽의 ‘동맥’
- 목 옆쪽의 ‘경동맥’
- 허벅지 안쪽의 ‘대퇴동맥’
* 기혈음양에 따른 맥박 상태
① 기혈음양이 충분하고, 건강 상태 좋으면 맥박이 규칙적이고 힘 있게 유지
② 기혈음양 중 하나라도 부족하고 불안정하면 맥박이 불규칙하고, 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약해짐
▶
※ 맥 많이 짚는 ‘손목’
- 맥박이 느껴지는 촌 ・ 관 ・ 척(寸 ・ 關 ・ 尺) 부위 진단
- 둘째 ・ 셋째 ・ 넷째 손가락을 올려서 맥박 파악
※ 손목 맥진으로 건강 상태 가늠할 수 있는 장기
* 오른쪽 손목 : 폐 ・ 비위 ・ 심장
* 왼쪽 손목 : 심장 ・ 간 ・ 신장
▶
※ 기억하세요!
한의학에서는 맥(脈)을 통해 많은 건강 정보를 얻습니다. 그러나 맥진만으로 어느 장기에 암이 있고, 염증이 발생했는지 환자의 질병 상태를 모두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맥진은 여러 가지 진찰 방법 중 하나로서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지표로 생각해야 합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한의사 ‘맥진(脈診)’으로 알 수 있는 건강 상태 – 힐팁 건강다이어리, 힐팁TV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