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경제금융용어
700선

상대적 빈곤율

다른 표기 언어

상대적 빈곤율은 세금과 이전소득을 모두 감안한 처분가능소득이 중위소득(소득이 많은 순서대로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인 사람의 소득)의 50%를 밑도는 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는 소득을 기준으로 한 빈곤선(50%)에 의거해 국민이 겪는 빈곤의 정도를 측정하는데 활용된다. 우리나라는 2014년 기준으로 상대적 빈곤율이 14.4%를 기록하였는데 노르웨이, 프랑스, 독일 및 스위스는 각각 8.1%, 8.2%, 9.5% 및 9.9%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며 일본 및 미국은 각각 16.1% 및 17.5%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 빈곤율이 2015년에는 13.8%로 2014년보다는 다소 낮아졌다. 이를 연령층 기준으로 살펴보면 26∼40세는 5.8%(2014년 6.5%), 41∼50세는 6.4%(6.7%), 51∼65세는 3.4%(14.8%)인 반면 66∼75세는 38.8%(42.7%)의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내어 고령층이 소득 부족에 따른 빈곤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경제금융용어 700선
경제금융용어 700선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책은 경제금융용어 700선에 대해 (한국은행의 무상 자료제공) 다룬 도서입니다. 경제금융용어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상대적 빈곤율경제금융용어 700선, 한국은행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