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정의
공기는 인후두부, 기관, 기관지 등을 거쳐 폐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통로를 기도라 하고, 이것이 부분 혹은 전체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기도 폐쇄라 하며, 다른 말로 기도막힘(질식)이라 합니다.
원인
기도는 이물질이나 알레르기 반응,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화상, 화학 물질의 흡입으로 인한 손상, 종양이나 외상, 성대 마비 등에 의해 폐쇄될 수 있습니다.
이 중 이물질에 의한 기도 폐쇄는 성인의 경우 주로 음식물에 의한 것입니다. 흔히 웃으면서 먹거나 잘 맞춰지지 않은 틀니를 한 채 혹은 음주 상태로 먹을 때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 기도를 막을 수 있습니다.
어린아이인 경우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가 흔하며 땅콩, 장난감, 동전 등이 기도로 넘어가 기도를 막을 수 있습니다.
증상
기도폐쇄의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릅니다.
기관지가 거의 막히지 않은 경우에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고 부분적인 폐쇄일 경우에는 숨가쁜 증상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폐쇄인 경우에는 당황하는 모습을 보이며, 숨소리가 비정상적으로 들리고, 청색증(혈중 산소가 모자라 피부나 점막이 푸르게 변하는 현상), 의식 저하 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의식을 잃어 입으로 숨을 불어넣을 수 없는 상태에서 발견되기도 합니다. 완전한 폐쇄는 급히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하부 기도의 부분적인 폐쇄는 원인 질환에 따라 증상이 다르며, 쌕쌕거리는 숨소리, 호흡 곤란, 이차적인 감염에 따른 발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진단
증상 및 신체 검진으로 진단하며 기관지 내시경, 후두경, X선 촬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얕고 빠른 숨을 쉬고 청진 시 호흡음이 감소되어 들릴 수 있습니다.
치료
응급처치로 의식이 없는 환자는 즉시 119에 신고하거나 최대한 빨리 심폐소생술을 받아야 합니다.
의식이 있는 환자에서 만약 완전한 기도 폐쇄로 인해 말을 하거나 숨을 쉴 수 없다면, 하임리히 요법(Heimlich maneuver)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성인과 어린이는 5회 복부 밀어내기(abdominal thrust)를, 1세 미만의 영아는 5회 등 두드리기(back blows) 및 5회 복부 밀어내기를 시행합니다.
기도의 폐쇄 원인에 따라 치료가 다르므로 기도를 막고 있는 물체를 후두경이나 기관지 내시경으로 제거할 수도 있고, 기도 확보를 위해 튜브를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기관이나 인두부를 절개하여 기도를 확보하기도 합니다.
경과/합병증
심한 상기도 폐쇄는 빠른 응급 처치를 요하며, 치료가 즉각적으로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뇌 손상, 호흡 부전,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뇌세포는 4~6분 동안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손상을 입게 됩니다. 드물지만 기도를 폐쇄했던 이물질이 입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폐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 이 경우 수일 후 쌕쌕 거리는 숨소리, 기침, 폐렴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즉시 다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 영아는 손에 잡히는 것은 다 입으로 가져가는 시기여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대개 어른의 무관심으로 인해 많이 일어나므로 땅콩이나 삼키기 쉬운 작은 물건(장난감 부속품, 사탕, 동전, 단추 등)은 아이의 손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이물질이 입 안에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입 안에 손가락을 넣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질병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이물질에 의한 기도막힘 – 질병백과, 서울아산병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