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서울대학교치
과병원 치의
학백과

악정형장치

다른 표기 언어 orthopedic appliance 동의어 턱교정장치, 성장조절장치
요약 테이블
진료과 치아교정과

요약 성장기 아동에게서 위턱 아래턱의 성장 방향을 개선해주는 장치입니다.

정의

성장기 아동의 경우 위턱과 아래턱의 성장이 불균형적일 수 있습니다. 위턱과 아래턱의 과성장 및 열성장이 혼재할 수 있으며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과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에 현재의 성장 패턴을 분석하고 향후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장치가 악정형장치입니다.

종류

1)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위턱 과성장 및 아래턱 열성장) 치료용

① II급 기능성 교정장치(functional appliance) : 구내 장치의 일종으로 아래턱의 성장을 촉진하며, 액티베이터(activator), 바이오네이터(bionator), 트윈블럭(twin block) 등이 있습니다.

② Functional regulator(FR-II) : 구내 장치의 일종으로 비정상적인 구강 부위 근육 습관을 제거하고 아래턱의 성장을 유도합니다.

③ 헤드기어(headgear) : 구외 장치의 일종으로 위턱 성장을 억제합니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위턱 열성장 및 아래턱 과성장) 치료용

① Functional regulator(FR-III) : 구내 장치의 일종으로 근육의 기능적 이상을 회복하여 위턱 성장을 유도하고 아래턱 성장 방향을 바꾸어 줍니다.

② 이모장치(chin cup) : 구외 장치의 일종으로 아래턱의 성장 억제를 목적으로 사용하며, 성장 방향을 변화시킵니다.

③ 페이스마스크(facemask) : 구외 장치의 일종으로 위턱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치료질병

골격성 II급 및 III급 부정교합

진료과

치과교정과

해당 신체기관

위턱, 아래턱

시술

임상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임상 사진 검사, 치아 모형 검사 및 기타 정밀 검사 등을 통한 정확한 교정 진단이 필요합니다.

준비사항

1) 구내 장치
- 치아 모형을 제작하기 위한 인상채득을 시행합니다.
- 필요시 원하는 턱 관계를 유도하는 구성교합(construction bite)을 채득합니다.

2) 구외 장치
- 머리 및 치열궁의 크기를 측정합니다.
- 헤드기어의 경우 제1대구치에 밴드 장치가 사전에 필요합니다.
- 페이스마스크의 경우 위 치열궁에 고리를 포함하는 구내 장치가 필요합니다.

시술방법

1) 미리 제작된 장치를 구강 내에 적합시키며 적절한 힘이 작용하는지 측정합니다.

2) 장치 착용에 있어 주의사항을 설명 드립니다.

3) 4주~3달의 간격으로 필요에 따라 내원하여 장치를 조절합니다.

주의사항(상세)

1) 장치가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장치를 제거하고 있을 경우 가급적 보관함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2) 사용시간은 담당 주치의의 지침에 따릅니다.

3) 처음 며칠간은 익숙하지 않아 수면 시 구내 장치가 빠져 버리는 일이 있습니다. 익숙해질 때까지 매일 밤 끈기 있게 착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사가 느슨해지거나 지나치게 조일 때는 함부로 만지지 마시고, 담당 주치의와 상의하십시오. 또한 장치 위생관리에 주의합니다. 구내 장치의 경우 플라그 및 치석이 침착될 수 있습니다. 칫솔질할 때 장치도 세척하여야 합니다.

4) 담당 주치의의 지시에 따라 장치를 착용하며, 끼우고 뺄 때에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합니다. 힘의 세기를 마음대로 조절하지 않도록 합니다. 입 속 장치가 빠지거나 변형되면 담당 주치의에게 문의합니다.

주의사항(요약)

1) 장치 파손 주의
2) 장치 위생 관리
3) 장치 협조도

통증

1) 정상적인 경우라도 장치 사용 초기에 잇몸이나 머리 부위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나, 지속될 경우 담당 주치의와 상의합니다.

2) 일상 생활이 불편할 정도의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진통제의 복용 고려해볼 수 있으며 담당 주치의와 상의하도록 합니다.

3) 구내장치의 경우 초기 3주~4주간 침분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경과

1) 장치 장착 이후 4주~6주, 길게는 3달~6달 간격으로 체크를 받습니다.

2) 매 체크 시 장치의 파손 정도를 살피고 장치가 발휘하는 힘을 측정하여 일정수준을 유지하도록 조절합니다.

3) 원하는 개선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과교정 및 유지 목적으로 수개월 이상 더 장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치료 과정 상 추가의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부작용 ・ 후유증

1) 환자의 협조도가 부족하면 치료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2) 치료 도중 치아가 물리는 관계가 변할 수 있습니다.

생활가이드

1) 담당 의사가 지시한 시간대로 착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1회 착용 시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구내 장치의 경우 칫솔질, 식사 시 장치를 제거합니다. 제거 시 별도의 보관함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관련 치료법

해당사항 없음

Functional regulator(FR-III)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바이오네이터(bionator)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모장치(chin cup)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페이스마스크(facemask)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된 의학정보는 일반적인 사항으로 개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여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수술/시술

수술/시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악정형장치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의학백과, 서울대학교치과병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