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발행일 | 1971.4.12 |
---|---|
발행량 | 1000000 |
종수 | 1 |
액면가격 | 10원 |
디자인 | 전철과 도안화한 터널 |
우표번호 | 735 |
인면 | 23×33 |
천공 | 13 |
전지구성 | 10×5 |
용지 | 섬유들이 |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색 |
디자이너 | 김성실 |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
8.15 해방 당시 불과 100만 내외의 인구를 가졌던 서울은 비약적인 경제발전과 국력의 신장 추세에 따라 이제 550만을 헤아리는 큰 도시로 알차게 성장하여 세계 속의 서울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서울의 교통난은 날이 갈수록 더욱 심각해지고 있어 이를 해소하여 보다 살기 좋고 일하기 좋은 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지하철의 건설이 절실히 요청되므로 그동안 국내 지혜와 기술을 총망라한 조사와 설계가 진행되어 온 겨레의 열망 속에 드디어 오는 4월 12일 제1호선을 착공하게 되었다. 제1호선은 수도권 고속전철 5개 노선 중에서 가장 시급한 노선인 서울역 남쪽을 기점으로 하여 시청 앞, 종로, 신설동, 청량리 역 간을 연결하는 9.5km로써 8.6km의 지하터널과 0.9km의 지상구조 그리고 9개소의 지하역이 포함되어 있는데 12개 공구로 나누어 총 예산 260억 원을 들여 73년 말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우선 금년에는 공사기간이 가장 오래 소요되고 노면 교통을 감안한 남대문-시청 앞 간 2개소, 종로3가-4가 간, 동대문-신설동 간, 서울사대 앞의 5개 공구를 시공하게 된다. 이 제1호선이 완공되면 하루 60만 명의 수송을 감당하게 되며 시간과 교통비의 절약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교통 공해의 경감, 변두리 개발 등 여러 편익을 많이 얻게 될 것이다. 체신부에서는 본 지하철의 착공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며 약진하는 서울이 더욱 발전하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기념우표를 발행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지하철 제1호선 착공기념 – 한국우표, 우정사업본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