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박군팔

다른 표기 언어 朴君八 동의어 박 니콜라이 콘스탄티노비치
툴바 메뉴
요약 테이블
출생 1877년, 부산(釜山)
사망 1942년 9월 2일
관련 사건 러시아내전,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 창립대회, 베르흐네우딘스크 고려공산당 통합대회
주요활동 1920년 러시아공산당 선전위원으로 이르쿠츠크에서 한인군대 조직, 1921년 1월 러시아공산당 원동국 한인부 지도원, 5월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 창립대회 참가, 1922년 10월 베르흐네우딘스크 고려공산당 통합대회 참가
포상훈격 2011년 건국포장
관련 인물/단체 혈성대, 원동국 한인부, 한인사회당, 해산군인구제회

1877년 경상남도 부산(釜山)에서 태어났다. 러시아 이름은 박 니콜라이 콘스탄티노비치(Пак Никола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이다. 고려공산당 창립부터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모스크바로 가서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 러시아사회민주당(볼셰비키)에 입당하였다. 1920년 임계진(林桂鎭) 등과 공산당 선전위원으로 이르쿠츠크에 파견되었다. 이르쿠츠크 거주 한인 80여 명으로 군대를 조직하고 독립운동 자금 모집활동을 벌였다. 이때 조직된 한인 군대는 옴스크에 설립된 사관학교를 거쳐 혈성대(血成隊)로 이어졌다.

1920년 5월 최종호(崔鍾浩) ・ 정해(鄭海) ・ 우시하(禹時夏) 등과 블라디보스토크(Владивосток)로 파견되었다. 소개서 외에 모스크바의 소비에트정부에서 상하이(上海)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보내는 편지와 원동의 한인들에게 보내는 공개장 등 3통의 편지를 지참했다. 편지는 소비에트정부가 임시정부와 한인들에게 큰 동정을 표시하고, 충분한 원조를 제공하겠다는 내용이었다. 블라디보스토크 소비에트 대표 빌렌스키(В. Д. Виленский)를 만나 김만겸(金萬謙)을 상하이로 파견키로 결정하였다. 이후 김만겸은 상하이에서 보이틴스키와 코민테른 동아비서부를 설립하고, 이동휘 등 한인사회당 인사들과 여운형(呂運亨) ・ 조동호(趙東祜) 등과 한국공산당을 조직하였다.

1921년 1월 러시아공산당 원동국 한인부의 지도원으로 초청되어, 1월 26일 한인부 정기회의에서 아시아 군국주의를 반대하는 방향으로 지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특별위원회를 조직하자고 보고하였다. 그해 5월 4일 이르쿠츠크(Иркутск)에서 열린 고려공산당 창립대회에 참가하여, 상해 한인사회당의 입장을 대변하며 이르쿠츠크 그룹과 대립하다가, 5월 6일 김 아파나시 ・ 이재형(李載亨) 등과 대회에서 추방되었다.

자유시사변 이후 1921년 11월과 1922년 4월에 열린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한국위원회 결정서들은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 양 세력의 연합을 촉구하였다. 그 결과 1922년 10월 19일부터 28일까지 시베리아 베르흐네우딘스크(Берхнеудинск, 현 울란우데Улан-Удэ)에서 고려공산당 통합대회가 열렸는데, 달린의 공산주의단체 대표 자격으로 참가하여 심사권을 가진 대표로 상해파 지지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러나 소수파로 전락한 이르쿠츠크파가 탈퇴함으로써 결렬되고 말았다.

이후 블라디보스토크로 가서, 김동한(金東漢) ・ 이성(李成) ・ 김종구(金鍾球) ・ 임표(林彪) ・ 조덕진(趙德珍) 등과 해산군인구제회를 조직하여 러시아 관헌에 연해주 수찬(水淸)에서의 어업권 특허를 요청하였다. 이후 해산군인구제회는 해산군인어업조합을 거쳐 목선조합으로 바뀌었는데, 1923~24년 목선조합의 사무를 맡아 혁명기금 1만 루블을 모금하여 러시아공산당 연해주위원회 고려부에 제공하였다. 이때 고려부 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이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통합국가정치보위부(게페우ГПУ, KGB 전신) 제59국경부대에서 근무하였다. 작전팀 팀장으로 근무하던 1931년 5월 30일, 내무인민위원부에 붙잡혀 집중수용소 10년을 받았다. 복역 후 우슈토베 장애인조합 제작장에서 일하다가, 1942년 8월 다시 붙잡혀 총살형을 받고 9월 2일 사망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1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윤상원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機密 제30호 鮮人의 行動에 關한 件」, 1920. 5. 20,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機密 제34호 鮮人의 行動에 關한 件」, 1920. 6. 5,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1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諸往 제22호 金東漢 送還에 關한 件」, 1925. 7. 5,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1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機密公 제11호 極東 露領에서의 不逞鮮人의 狀況 報告의 件」, 1922. 9. 19,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鮮人과 過激派 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독립운동사자료』 34, 국사편찬위원회, 1997
  • ・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독립운동사자료』 35, 국사편찬위원회, 1997
  • ・ 반병률, 『성재이동휘 일대기』, 범우사, 1998
  • ・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 ・ 『스탈린시대 정치탄압 고려인 희생자들』, 인명편 1,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9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독립기념관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박군팔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