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김맥동

다른 표기 언어 金麥童 동의어 김응수, 金應守, 김성열, 金性悅
툴바 메뉴
요약 테이블
출생 1895년, 경상남도 함양(咸陽)
사망 1980년 1월 14일
관련 사건 신의주역 호텔 투탄 의거
주요활동 1920년 만주 광복군총영 가입, 1920년 8월 ‘신의주역 호텔 투탄 의거’에 참여, 1922년 경남 일대에서 군자금 모집과 비밀결사 조직 활동
포상훈격 2018년 대통령표창
관련 인물/단체 광복군총영

1895년 경상남도 함양군(咸陽郡) 안의면(安義面) 석천리(石川里)에서 태어났다. 한문을 수학하였다. 초명(初名)은 김성열(金性悅)이었으며, 1947년 1월 5일 김응수(金應守)로 개명하였다.

1918년 11월 초순경 형이 사는 만주에 가서 기독교에 입교하고, 최성근(崔性根) ・ 조천수(趙千秀) ・ 최윤중(崔允仲) 등과 교류하였다.

1920년 7월 남만주(南滿洲) 일대에서 조직된 광복군총영(光復軍總營)에 가입하여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광복군총영은 남만주 지역의 항일 무장 조직들을 결집하여 독립전쟁을 더 효과적으로 펼치고자 설치한 군사기구이다. 콴뎬현(寬甸縣)의 사령부 총영장(總營長)인 오동진(吳東振) 휘하로 들어가 안교신(安敬信) ・ 정일복(鄭日福) ・ 임용일(林龍日) 등과 교류하며 훈련 받았다.

군자금 모집 광복단원 체포 관련 보도(『동아일보』 1922.5.19)

ⓒ 독립기념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920년 8월 국내로 들어와 미국 국회의원단이 중국 시찰을 위해 신의주 지역을 경유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감행한 ‘신의주역 호텔 투탄 의거’에 참여하였다. 정인복(鄭仁福)과 함께 8월 9일 밤 신의주경찰서, 8월 15일 신의주역사(新義州驛舍)와 호텔에 대한 폭파 임무를 수행하고 각자 도피하였다. 이후 9월 중순경부터 경남 일대의 읍면을 중심으로 부호(富戶)들에게 군자금을 모집해 만주의 광복군에 보내고 비밀결사를 조직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2년 4월경 마산으로 오라는 기별을 받고 오동진의 신임장과 자금 모집 영수증 등을 숨겨 마산으로 갔다. 마산역 근처의 마산여관에 체재하던 중 주순조(朱諄祖) 등과 함께 마산경찰서의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5월 15일 검찰로 압송되었으며, 7월경에 열린 재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3년 형을 선고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출옥 후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8・15 광복 직후 귀국한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정부는 201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변은진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高等警察關係摘錄』, 慶尙南道警察部, 1936.12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5권, 1973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제7권, 1976, 511
  • ・ 『동아일보』 1920.10.26, 1922.5.5, 5.7, 5.19, 1929.12.10
  • ・ 『국제신보』 1977. 3.5
  • ・ 변지섭, 『慶南獨立運動小史』, 三協印刷社, 1966
  • ・ 咸安郡誌編纂委員會, 『咸安郡誌』, 咸安郡誌編纂委員會, 1981
  • ・ 김성진 ・ 추경화, 『함양항일투사록』, 함양문화원, 2007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독립기념관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김맥동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