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김동호

다른 표기 언어 金東鎬
툴바 메뉴
요약 테이블
출생 1919년 9월 18일, 경기도 양주(楊州)
사망 1982년 8월 23일
관련 사건 학우회(오카야마)
포상훈격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1919년 9월 18일 경기도 양주군(楊州郡) 노해면(蘆海面) 도봉리(道峰里, 현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태어났다. 1938년 봄 일본 오카야마시(岡山市)에 있는 제6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 동기생 여운창(呂運昌) 등 8인과 함께 상호 친목을 목적으로 하는 친목회(親睦會)를 조직하였다. 중일전쟁 이후 일본의 군국주의가 강화되어 한글 폐지나 창씨개명 등 민족말살정책을 시행하자, 민족의식이 뚜렷하였던 까닭에 조국 독립을 갈망하게 되었다.

1940년 4월 한국인 신입생 4명이 입학하여 학생이 늘어나자 여운창이 민족주의를 친목회의 사상으로 삼아 독립운동을 하자고 주장했고, 여기에 찬동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3학년생 손의석(孫宜錫), 2학년생 고창섭(高昌燮) 등도 함께 참여하였다. 모임의 목표는 오카야마 제6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한국인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일깨우는 것이었고, 독립을 위해 필요한 방략을 협의하고 친목회를 민족주의단체인 학우회(學友會)로 전환하기로 하였다. 한국인을 지도하고 계몽하는 중심 세력으로 만들고, 일본 내 항일 단체와 국내 민족주의 단체 등과도 연계하고자 했다. 중일전쟁 과정에서 일본에 혼란이 일어나면 일제히 봉기해 조국 독립을 수행한다는 취지였다.

매월 한 번씩 하숙집을 돌아가며 회합 장소로 정하여 비밀리에 민족의식 앙양과 구체적인 활동 방침을 협의하였다. 신입생 환영회나 각종 회합에서도 민족의식을 일깨우는 동시에 동지를 규합하는 등 학우회의 확대에 노력하였다. 회합에서 의논하고 협의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민족의 자유와 행복을 얻으려면 독립한 국가를 건설하는 길 밖에 다른 방도가 없으며, 한 민족 한 국가는 자연의 법칙이다.

둘째, 독립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인 학생은 단결을 더욱 굳게 하고 민중을 민족적으로 지도하여야 할 사명을 띠고 있다. 신입생에 대하여는 총독 정치의 모순, 한국 민족에 대한 차별 대우 등의 현실을 지적하여 민족의식을 지도 ・ 계몽한다.

셋째, 한국 민족은 열등한 민족이 아니다. 이미 올림픽대회에서 세계 각국 선수를 압도하고 우승한 손기정(孫基禎)은 이 민족의 우수성을 발휘하고 있다.

넷째, 중일전쟁은 장제스(蔣介石)가 미국 ・ 영국 ・ 소련 등의 강대국으로부터 군사상 ・ 경제상의 원조를 받아 장기적인 항전으로 용감하게 일본군을 반격하고 있다. 일본은 전쟁의 과정에서 경제적으로 고립무원의 처지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내부 붕괴를 일으켜 마침내 패전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이러한 좋은 기회를 이용하여 일제히 봉기하여 독립을 이루어야 한다.

다섯째, 한국의 선배는 희생적 정신이나 단결력이 없었으므로 마침내 일본에게 정복당한 것이다. 우리는 이런 점에 비추어 제일 먼저 스스로 단결을 도모함과 동시에 일반 대중으로 하여금 희생적 정신, 단결력을 양성하여야 한다.

여섯째, 일본인과 결혼하면 자연히 민족의식이 거세되는 것이니 한민족의 지도자는 일본인과 결혼을 절대로 피하고 더욱 민족정신을 연마한다.

일곱째, 3・1운동은 민중의 일시적 무통제(無統制)의 폭동이었기 때문에 실패하였다. 이에 스스로 단결을 굳게 하고 대중의 지도에 노력하여야 한다.’

1941년 2월 17일 회원들과 함께 일제 경찰에 모두 검거되어 수감되었다. 1943년 2월 28일 오카야마지방재판소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기소되었으나, 면소 판결을 받았다. 하지만 미결 기간을 포함하여 약 3년간 옥고를 겪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김형목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예심종결결정서」, 1943.2.28, 오카야마지방재판소
  • ・ 金正明 編, 『朝鮮獨立運動』 Ⅲ 民族主義運動編, 原書房, 1967
  • ・ 국사편찬위원회,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2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자료집』 제13집 학생독립운동사자료집, 1977

출처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독립기념관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김동호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