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94년 3월 18일, 경상남도 함양(咸陽) |
---|---|
사망 | 1970년 9월 2일 |
관련 사건 | 3・1운동 |
주요활동 | 1919년 3월 31일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함 |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1894년 3월 18일 경상남도 함양군(咸陽郡) 지곡면(池谷面) 남효리(南孝里)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운동 당시에도 거주하며 농사를 짓고 있었다. 호는 백죽(栢竹)이다.
함양군 안의면(安義面) 안의읍(安義邑)의 만세 운동은 1919년 3월 25일 계획되었다. 먼저 안의시장에서 독립 만세를 부르자는 방을 써서 수동면(水東面) 상백리(上栢里) 주막집 앞길에 붙였다. 하지만 경계가 삼엄하여 더는 진행하지 못하였다. 이후 안의시장 독립 만세 시위는 서하면(西下面)과 지곡면(池谷面)의 뜻있는 청년들이 계획하였다. 이들은 안의읍 장날인 3월 31일을 거사 일로 정하여 만세 시위를 전개하기로 하고,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제작하면서 동지를 규합하는 등 사전 준비를 서둘렀다.
시위대의 기세에 놀란 일제 경찰의 지원 요청에 따라 일본군 거창수비대의 중대장 이하 20여 명이 출동하여 무력을 행사하면서 시위 군중을 진압하였다. 이 과정에서 붙잡혀 1919년 9월 5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겪었다.
대한민국정부는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집필자 : 배석만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판결문」, 대구복심법원, 1919.9.5
-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독립운동사』 3, 1971
출처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인명사전으로>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하여 그동안 축적된 연구기반 위에서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사전적으로 종합, 정리하기 ..펼쳐보기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김동호 –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독립기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