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란 법치와 개인 자유를 침해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민주주의를 말한다. 여러 정당이 선거를 통해 경쟁하여 민주주의의 형태를 갖췄으나, 민주주의가 법치와 개인 자유를 침해할 때 이처럼 표현한다. 1997년 미국 시사평론가 파리드 자카리아가 유고슬라비아 특사로 파견된 리처드 홀브루크의 말을 인용하면서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라는 개념이 통용되기 시작했다.
2021년 11월 뉴욕타임스(NYT)는 10년 새 전 세계 민주주의 후퇴의 책임이 미국과 미국의 동맹국들에 더 큰 몫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NYT는 스웨덴 비영리법인 V-Dem의 자료를 통해 터키, 헝가리, 이스라엘, 필리핀 등 국가에서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 경향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투표권 제한, 사법부의 정치화 등의 요인들이 학자들이 우려하는 민주주의의 위기 현상이다. 정치학자들은 미국을 모델로 삼는 신뢰가 약해지며 민주주의에 대한 믿음이 약해졌다고 분석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태그 더 보기
정치이론/사상
정치이론/사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 – 에듀윌 시사상식, 에듀윌 상식연구소, 에듀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