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해외투자용어
사전

헤징

다른 표기 언어 Hedging

현물가격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선물시장에서 현물과 반대되는 선물포지션을 설정하는 것이다. 헤징을 하면 상품(주가 ・ 환율 ・ 금리 ・ 금)의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더라도 현물 ・ 선물의 동시거래를 통해 정반대의 손익이 나타나므로 어느 한쪽의 손익이 다른 쪽의 이익으로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가격변동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헤징은 매입헤지(long hedge)와 매도헤지(short hedge)로 구분된다. 매입헤지는 가격상승 위험을 없애기 위해 선물을 매입하여 가격변동 위험을 줄이는 것이며, 반대로 매도헤지는 가격하락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선물을 매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기업이 특정일에 자사 제품을 수출하고 3개월 후에 5만 달러를 받기로 했다면 3개월 후의 달러선물을 택해 5만 달러를 원화로 파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 같은 형태를 매도헤지라 한다. 헤징은 선물계약을 통한 위험노출의 헤지 정도에 따라 완전헤지와 불환전헤지로 구분된다.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의 변화방향과 그 크기에 따라 헤징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데, 완전헤지는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이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만큼 변하여 현물시장에서의 손실(이득)이 선물시장에서의 이득(손실)에 의하여 완전히 상쇄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이 이루어지려면 ①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의 차이인 베이시스(basis)가 항상 일치하여야 하며 ② 선물채권과 현물채권의 표면금리가 일치해야 하며 ③ 두 채권의 만기가 동일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완전위험헤징은 거의 불가능하며 다만 현물채권과 상관관계가 높은 채권을 선물거래 대상으로 선택함으로써 헤징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해외투자용어사전
해외투자용어사전 | 저자KOTRA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해외투자와 관련된 용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제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헤징해외투자용어사전, KOTRA, KOTRA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