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유물 > 악기 |
---|---|
크기 | 가로: 29cmcm, 세로: 23.8cmcm, 높이: 62cmcm |
재질 | 금속 |
유물설명
제향아악을 시작할 때 사용하는 타악기(打樂器)의 하나로 황종(黃鐘)음을 내는 종이다. 가자(架子)라 불리는 틀에 종을 걸어 사용하였다. 종의 아랫부분 가운데에 작은 원형의 돌출 부분인 수(隧)를 소뿔로 만든 각퇴(角槌)로 쳐서 연주하였다. 1116년(고려 예종 11)에 송(宋)으로부터 유입되어 아악 연주에 사용되었다. 조선 초에는 사직(社稷), 풍운뇌우(風雲雷雨), 선농(先農), 선잠(先蠶), 우사(雩祀), 문묘(文廟) 등 아악을 연주하는 제례의 헌가(軒架) 악현에서 특종이 특경·편종·편경과 함께 악현의 삼면(三面)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었다. 성종대에 이르러 황종음의 특종으로 통합되어 등가(登歌)에만 사용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특종 – 국립고궁박물관 유물 이야기, 국립고궁박물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