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국립고궁박물
관 유물 이
야기

소학제사 · 경재잠서병

다른 표기 언어 小學題辭·敬齋箴書屛
요약 테이블
분류 유물 > 서예
크기 병풍 각 폭 세로: 168.5cmcm, 가로: 55.2cm , 화면 각 폭 세로: 120.5cmcm, 가로: 46.5cmcm
재질 종이에 먹
소학제사 · 경재잠서병

ⓒ 국립고궁박물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유물설명

작가: 주원영(朱源榮)

제작년도: 20세기 전반

유형: 4폭 병풍

창덕6636, 창덕6637, 창덕6635, 창덕6634 병풍에는 〈경재잠敬齋箴〉,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소학小學》 〈제사題辭〉세 편의 글이 뒤섞여 장황되었다. 각 경전의 내용에 따라 순서를 정리하면 《 숙흥야매잠 》 (창덕6636) → 《 숙흥야매잠ㆍ소학 제사 》 (창덕6637) → 《 숙흥야매잠 ㆍ소학 제사ㆍ경재잠 》 (창덕6635) → 《 경재잠 ㆍ소학 제사 》 (창덕6634)로 볼 수 있다.

제1폭부터 제3폭까지는 《소학》 〈제사題辭〉 중 일부 내용으로서 ≪숙흥야매잠 ∙ 소학제사 서병≫의 제4폭과 그 내용이 연결된다. 제4폭은 주희(朱熹, 1130~1200)의 〈경재잠敬齋箴〉을 쓴 것으로 ≪숙흥야매잠 서병≫의 제1폭과 이어지는 내용이다. 〈경재잠〉은 학문을 배우는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행동과 마음가짐에 대하여 기술한 것이다. 제4폭 화면 중앙에 팔각형의 불발기창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국립고궁박물관 유물 이야기
국립고궁박물관 유물 이야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조선 왕실 전문 박물관인 국립고궁박물관의 유물에 대한 상세한 정리가 되어 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물

유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소학제사 · 경재잠서병국립고궁박물관 유물 이야기, 국립고궁박물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