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국립고궁박물
관 유물 이
야기

영조대왕 훈유

다른 표기 언어 英祖大王 訓諭
요약 테이블
분류 유물 > 조각
크기 세로: 50.6~50.8cm, 가로: 27.4~27.6cm, 두께: 9.0~9.1cm
재질 석회질 대리암(담회색)
영조대왕 훈유

ⓒ 국립고궁박물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유물설명

제작년도: 영조 20년(1744)

영조가 1744년(영조 20) 사도세자(思悼世子)에게 교훈이 될만한 글을 내린 것이다. 총 네 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내용은 『조선왕조실록』 영조 57권 19년(1743 계해) 2월 30일(갑인) 기사에 기록되어 있다. 훈유 네번째 첩으로, 영조가 사도세자에게 달(達)자를 화압으로 내리며 그 의미를 되새기기를 당부하는 내용이다. 3매의 각석 5면에 새겨져 있다. 창덕6696, 창덕6697, 창덕6695가 각석의 전문을 이루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달(達) 나의 화압(花押)은 즉 ‘통(通)’자이니 예전에 하사받은 것이다. 삼가 힘쓰라는 의미에서 내가 직접 써서 너에게 주니 장래에 사용하도록 하라. 조만간에 신하들이 지어서 바친 것과 어찌 비교할 수 있으랴? 성인이신 공자가 무왕(武王)과 주공(周公)을 달효(達孝)라고 칭찬하면서 말하기를 “남의 뜻을 잘 계승하고, 남의 일을 잘 이어 받는다.”라고 하였다. 잘 계승하고 잘 이어 받는 것은 사람이 효도함이다. 그 큰 것으로는 효(孝)와 제(弟)일 뿐이다. 비록 나의 정성이 미약하지만 너에게는 남의 뜻을 잘 계승하고 남의 일을 잘 이어 받으라고 권면(勸勉)한다. 어찌 나의 가르침이겠느냐? 요(堯)·순(舜)·문왕(文王)·무왕(武王)이 남긴 글 속에 실려 있는 것이다. 선대의 선생들이 가르치고 우리 조선에서 대대로 내려온 법은 오직 효(孝)와 제(弟)일 뿐이니 감히 소홀히 할 수 있겠느냐? 이 속에 나의 뜻이 깊이 들어 있다. 왜 그런가? 내가 비록 덕이 없긴 하지만 시국 상황을 잘 조절하고 모두가 조심하고 협동하는 이것이 나의 한 조각 확고부동한 마음이다. 네가 어찌 털 한 오라기 만큼이라도 효·제에 소홀히 할 수 있단 말인가? 네가 어찌 털 한 오라기 만큼이라도 효·제에 소홀히 할 수 있단 말인가? 대훈(大訓)이 환하게 밝혀져 있고 국시(國是)가 크게 정해있으니 사람의 자식으로서 해야 할 효는 어버이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는 것이 곧 달효(達孝)이다. 어찌 나의 마음만 그러하랴? 대대로 전하는 법에서 훈계를 받은 것이다. 이것은 나 한 사람의 행복이겠는가 곧 대대로 내려오는 대신(大臣)들의 행복이기도 하다. 마음에 이것을 잘 명심하여 삼가 본받고 삼가 따르도록 하거라.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국립고궁박물관 유물 이야기
국립고궁박물관 유물 이야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조선 왕실 전문 박물관인 국립고궁박물관의 유물에 대한 상세한 정리가 되어 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물

유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영조대왕 훈유


[Daum백과] 영조대왕 훈유국립고궁박물관 유물 이야기, 국립고궁박물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