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테이블
분류 유물 > 현판
크기 세로: 65.5cm, 가로: 146.0cm
재질 나무
옥당

ⓒ 국립고궁박물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유물설명

제작년도: 1699년

창덕궁 홍문관에 걸었던 편액(扁額)으로 1699년(숙종 25) 당시 홍문관 응교(應敎)였던 김진규(金鎭圭, 1658~1716년)의 글씨이다. 옥당은 홍문관(弘文館)의 다른 이름이다. 사헌부 · 사간원을 합쳐 양사(兩司)라고 하는데 여기에 홍문관을 합해 삼사(三司)라고 불렸다. 세종 때 주로 경연(經筵)의 업무를 하던 집현전이 세조 때 사육신(死六臣)사건으로 폐지되었다가 성종 때에 이르러 홍문관으로 부활하였다. 학술 기관으로 왕의 자문에 응하였으며 양사와 함께 왕권을 견제하는 역할도 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국립고궁박물관 유물 이야기
국립고궁박물관 유물 이야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조선 왕실 전문 박물관인 국립고궁박물관의 유물에 대한 상세한 정리가 되어 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물

유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옥당국립고궁박물관 유물 이야기, 국립고궁박물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