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통화식물목 > 가지과 > 가지속 |
---|---|
꽃색 | 백색 |
학명 | Solanum megacarpum Koidz. |
개화기 | 8월, 9월, 7월 |
분포지역
제주도에서 자란다.
형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크기
길이 3m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연모가 있으며 얇은 막질이고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첨두 심장저이고 길이 3-8cm, 나비 2-4cm이며, 배풍등과 달리 열편이 갈라지지 않는다.
꽃
취산꽃차례는 잎과 마주나기하며 가지가 갈라져서 다수의 백색 꽃이 성기게 달린다. 화경은 길이 1-4cm이며 꽃받침에 둔한 톱니가 있고 꽃부리는 수레바퀴 모양이며 엷은 자주색이고 길이 1-1.2c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으로서 뒤로 젖혀진다. 꽃밥은 길이 3mm정도로서 구멍으로 터진다.
열매
장과는 둥글고 지름 8mm로서 적색으로 익는다.
줄기
길이가 3m에 달하고 끝이 덩굴같으며 털이 거의 없다.
용도
• 배풍등/좁은배풍등/왕배풍등의 全草는 排風藤(배풍등), 根은 排風藤根(배풍등근), 과실은 鬼目(귀목)으로 모두 약용한다.
⑴排風藤(배풍등)
①5-6월 또는 9-11월 사이에 전초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 alkaloid가 함유되어 있고 줄기에는 steroid, alkaloid가 함유되어 있으며 tomatidenol, solasodine 및 soladulcidine 등이 있다. 잎에는 더욱 함량이 많은 α-solamarine과 β-solamarine, 비교적 적은 α-solasonine 또 소량의 solamargine이 함유되어 있다. β-solamarine은 Mouse의 肉腫(육종)-180에 대하여 저항작용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利濕(이습), 祛風(거풍), 해독의 효능이 있다. 말라리아, 황달, 水腫(수종), 淋病(임병), 류머티즘에 의한 관절통, 丹毒(단독), (정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24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이거나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르거나 또는 짓찧은 즙을 바른다.
⑵排風藤根(배풍등근)
①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채취한다.
②성분 : 根에는 15α-hydroxysoladulcidine, 15α-hydroxysolasodine, 15α-hydroxymatidine, 15α-hydroxytomatidenol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風火牙齒(풍화아치-급성치통), 두통, (나력), 癰腫(옹종), 痔漏(치루)를치료하며 그 밖에 崩帶(붕대-자궁출혈), 流涕(유체)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鬼目(귀목)
①성숙기인 겨울에 채취한다.
②성분 : 미성숙 과실에는 다종의 steroid型 alkaloid가 함유되어 있고 그 중에는 α-·β-·γ1-·γ2-·δ-somalin, solasonine, solamargine, soladulcidine 등이 있다. 그 중 중요한 것은 tomatidenol, 또는 soladulcidine으로서 성숙초기에는 주로 solasodin이다. 이 alkaloid는 성숙하면 전부 소실된다. β-Solamarine은 Mouse 肉腫(육종)-180에 저항작용이 있다.
③약효 : 目赤(목적), 齒痛(치통)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한다. 또 眼霧(안무), 流淚症(유루증), 백내장, (두창) 후에 일으키는 眼痛(안통)을 치료한다.
유사종
• 배풍등 : 기본종
특징
줄기에 털이 없고 잎에 연모가 있으며 전혀 갈라지지 않는 것이 기본종과 다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왕배풍등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