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솜다리속 |
---|---|
꽃색 | 백색 |
학명 | Leontopodium coreanum Nakai |
개화기 | 7월, 6월, 5월, 4월 |
분포지역
한국(금강산; 한라산)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꽃대의 높이가 15-25cm정도이다.
잎
무화경(無花莖)의 잎은 거꿀피침모양이며 길이 2-7cm, 나비 0.6-1.2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표면에 면모가 다소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이다. 화경 밑의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지만 밑부분의 것은 남아 있고 중앙부의 잎보다 작으며 중앙부의 잎은 퍼지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6cm, 나비 7-15mm로서 엽병이 없다.
꽃
꽃대와 무화경(無花莖)이 모여나기하며 화경은 높이 15-25cm로서 면모로 싸여 있고 때로 회백색이다. 포는 드물게 달리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25mm, 나비 4-7mm로서 백색 털이 밀생하고 다소 누른빛이 돈다. 머리모양꽃차례는 잡성으로서 8-16개가 두상으로 달리며 花莖(화경)은 길이 1-20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가장자리가 흑색익 뒷면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
열매는 수과로 긴타원모양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짧은 털이 밀생한다.
뿌리
목질화된 짧은 근경에서 빈약한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생육환경
• 해발 800m이상 되는 능선의 절벽이나 바위틈에 자생한다.
번식방법
• 7월말경에 채취한 종자를 파종하면 이듬해 봄에 발아한다.
재배특성
재배적지는 바람이 잘 통하고 반그늘지고 약간 습윤한 곳이 좋으나 너무 과습하게 재배하는 것은 좋지 않다. 여름철의 고온에 매우 약하며 장마철에 식물체가 죽는 경우가 많다.주로 약간 경사진 낙엽수림하부에 재배하는 것이 좋다.
용도
• 초물분재로 이용하면 좋다. 고랭지의 지피용 소재나 암석원 등에 식재할 수 있다. 관상용으로 이용된다.
• 어린잎은 식용한다.
보호방법
우리나라의 솜다리는 산솜다리나 왜솜다리가 오동정된 것이다. 자생지 확인이 필요하다.
유사종
• 들떡쑥은 남부지방의 낮은 산 능선에 위치하는 풀밭에서 자란다.
• 왜솜다리는 소백산, 점봉산, 향로봉 등 높은 산의 절사면이나 풀밭에서 자란다.
• 한라솜다리는 한라산 정상부에서 자란다.
특징
• 환경부에서 한국특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121)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솜다리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