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대극속 |
---|---|
꽃색 | 자주색 |
학명 | Euphorbia pekinensis Rupr. |
개화기 | 6월 |
분포지역
•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 전남(무안), 경남, 경북(비파산), 충남, 경기, 황해, 평북,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80cm.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2.8cm, 폭 6-12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주맥에 흰빛이 돈다.
꽃
꽃은 6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윗부분에서 5개의 잎이 돌려나기하고 5개의 가지가 산형으로 갈라진다. 총포조각은 넓은 달걀모양, 삼각상 원형 또는 난상 원형으로서 길이 5-12mm이며 등잔모양꽃차례의 선체는 긴 타원형이고 지름 1.5mm정도로서 검은 갈자색이다. 1개의 암술로 구성된 1개의 암꽃과 1개의 수술로 구성된 몇개의 수꽃이 소총포안에 들어 있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삭과는 납작한 구형이고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으며 유면이 3각편으로 개열하고 종자는 넓은타원모양이며 길이 1.8mm로서 겉이 밋밋하다.
줄기
높이가 80cm에 달하고 곧추 자라지만 밑부분에서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자르면 유액이 나오며 꼬부라진 털이 있다.
뿌리
뿌리가 굵다.
생육환경
산이나 들에 난다.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용도
• 根(근)을 大戟(대극)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발아 전 또는 가을에 莖(경), 葉(엽)이 枯死(고사)하였을 때 뿌리를 캐어 남아 있는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대극에는 triterpenoid(euphorbon 등)와 alkaloid, 色素體(색소체), euphorbiaA,B,C 등이 함유되어 있고 신선한 잎에는 비타민C 110-112mg%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瀉水逐飮(사수축음), 消腫散結(소종산결)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수고-無熱性膀胱痲痺(무열성방광마비)), 痰飮(담음), 나력, 化膿性 腫瘍(화농성 종양)을 치료한다. 또 十二水(십이수), 服滿急痛(복만급통-內臟腫瘤(내장종류)에 의한 急激(급격)한 통증)), 積聚(적취-소화불량에 의한 위통, 위경련), 중풍으로 인한 皮膚疼痛(피부동통), 구토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g을 달여서 마시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이용> 달인 液(액)으로 熏洗(훈세)한다.
유사종
• 흰대극 :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 두메대극 :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 등대풀 :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거꿀달걀모양,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 암대극 :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록색이다.
특징
유독 식물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대극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