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의약품 사전

알레르기치료처방셋트

다른 표기 언어 Allergen Treatment Prescription Set
요약 테이블
식약처 분류 기타의 알레르기용약 (149)
전문/일반 전문 의약품
제조/수입사 원메디칼
제형 주사제
단일/복합 복합 성분
투여 경로 주사
보관방법 2-8도씨(동결불가)에 보관, 밀봉용기

요약 알레르기 원인물질을 소량 투여에서 시작하여 농도를 높여가면서 환자의 면역반응을 조절하여 증상을 개선합니다.

형태

무색-황색 또는 갈색의 등명액

성분

Therapeutic Animal Fur and Inhalation Ext. Antigen 치료용동물의털및흡입성추출항원 각각다름w/v%이하
Therapeutic Insect Ext. Antigen 치료용곤충추출항원 1:10, 1:100, 1:1000, 1:10000w/v%이하
Therapeutic Mold and Smut Ext. Antigen 치료용곰팡이추출항원및깜부기추출항원 1:10, 1:100, 1:1000, 1:10000, 1:100000, 1:1000000w/v%이하
Therapeutic Pollen Ext. Antigen 치료용꽃가루추출항원 1:20, 1:100, 1:1000, 1:1000, 1:100000w/v%이하

효능

알레르기성천식, 알레르기성비염등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제(원인 치료제)

용법

반드시 의사 이외의 사용은 금지함.

피부반응이 양성인 경우 반응이 나타난 양성 알레르겐의 치료용 추출물, 통상 집먼지 추출물은 1 : 1000배액, 화분류는 1 : 100,000배액, 진균류는 1 : 1,000,000배액, 기타는 1 : 10,000배액 0.02ml를 초회량으로 하여 피하에 주사한다. 1주 2회 약 50%씩 주사량을 증량하여 0.5ml에 달하면(집먼지 추출물은 1 : 100배액, 화분류는 1 : 1만배액, 진균류는 1 : 1십만배액, 기타는 1 : 1천배액) 0.05ml로 바꾸어 같은 방법으로 증량하면서 주사를 계속하여, 차제에 고농도액(집먼지는 1 : 10배액, 화분류는 1 : 20배액, 진균류는 1 : 100배액, 기타는 1 : 10배액) 0.5ml의 유지량까지 도달하게끔 한다. 단, 피부반응에 따라 초회 투여액의 농도 및 용량 또는 증량, 투여간격 및 유지량을 적절히 정한다.

주의사항

1. 일반적주의
1) 상기의 용법용량은 기준적인 투여법으로 필히 이 방법을 기계적으로 따를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환자는 개인차가 심하므로 감감작요법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늘 환자의 그때그때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용법용량을 정하여야 한다.

2) 초회투여농도
통상 최고로 희석한 치료용 알레르겐엑기스를 초회에 사용하지만 환자의 증상에 따라 또는 극히 과민한 환자에 대하여는 역치를 정하여 초회투여농도를 결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즉, 진단용 알레르겐피내엑기스에 알레르겐엑기스 대조액(생리식염액에 석탄산을 0.5% 첨가한 액)을 가하여 10배씩 희석하여1 : 1만, 1 : 10만, 1 : 100만, 필요하면 다시 1 : 100만, 필요하면 다시 1 : 1000만배액을 조제하고 최고로 희석한 액으로부터 0.02ml를 피내주사하여 피내반응 측정기준에 따라 반응을 측정한다. 양성반응을 나타낸 최저농도를 환자의 역치로 한다. 치료엑기스의 초회투여농도는 이 역치를 다시 10배 희석한 액을 쓴다. 이 경우 감감작백 신용희석액(치료용희석액)을 써서 소정의 농도까지 희석한다.

3) 증량 및 투여회수
각회의 투여후의 환자의 상태를 문진한 다음 그 결과에 따라 차회의 투여량을 가감한다. 예를들면, 주사에 의하여 발작이 일어나던가 또는 국소반응이 생길 때는 증량을 미룬다. 증량기간중의 투여 간격은 통상 1주 2회이지만, 간격이 오래된 경우에는 증량하지 않고 감량하는 쪽이 좋다. 감감작요법은 과량 투여보다 과소 투여쪽이 실패하는 예가 적다.

4) 유지량
환자의 임상증상이 저명하게 개선된 후, 이 농도를 가지고 유지량으로 하여 투여를 계속한다. 집먼지의 유지요법에는 1 : 10배액을 쓴다. 화분류의 유지요법에는 1 : 100배액 또는 이 이상으로 희석한 액을, 진균류의 유지요법에는 1 : 1,000배액 또는 이 이상으로 희석한 액을, 흡입성 알레르겐 및 기타 치료용알레르겐의 유지요법에는 1 : 100배액 또는 이 이상으로 희석한 액을 각각 널리 사용하므로, 반드시 화분류는 1 : 20배액과 같은 고농도액, 진균류는 1 : 100배액과 같은 고농도액, 흡입성 알레르겐 및 기타 알레르겐은 1 : 10배액과 같은 고농도액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하다. 화분류의 1 : 20배액, 진균류의 1 : 100배액, 흡입성 알레르겐 및 기타 치료용 알레르겐의 1:10배액과 같은 고농도액을 각각 사용하는 경우, 반응이 강하게 각각 나타나는 일이 있으므로 특히 소아나 노인에 대하여는 신중히 투여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화분류중 Ragweed, 흡입성 알레르겐중 Silk, Buckwheat flour에 있어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증상의 개선을 알고 바로 본제에 의한 치료를 중단하면 재발하는 일이 있으므로 감감작요법의 지속을 반드시 하여야 한다.

2. 부작용
1) 쇽크양증상 : 드물게 쇽크양 증상이 일어나는 일이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증상이 일어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처치를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1) 주사부위의 두측을 견박한다.
(2) 에피네프린 1 : 1000배액 0.3ml를 반대측의 팔에 주사하고, 그 장소를 잘 맛사지 한다.
(3) 에피네프린을 필요에 따라 소량씩 5 ~ 15분마다 수회 반복하여 주사해도 좋으며, 또는 항히스타민제를 보조적으로 사용해도 좋다.
(4) 기도확보, 혈관확보, 보온 등 증상에 따라 필요한 처치를 한다.
(5) 이들 처치에 대한 반응이 충분치 않을 때는 하이드로코티숀 등의 대량 근주, 정주를 한다.
2) 천식발작의 유발 또는 증강 : 천식발작을 유발 또는 증강을 나타내는 일이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와 같은 증상이 일어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일이 바람직스럽지만, 멈추지 않고 투여를 계속할 필요가 있을 때는 감량 또는 휴약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3) 피부 : 발진, 담마진, 습진, 홍반, 소양감, 색소 침착등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감량 또는 휴약, 또는 주사 부위를 바꾸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4) 기타 : 두통, 불쾌감, 권태감, 발열, 임파선의 종창 등이 일어 나는 경우에는 감량 또는 휴약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3. 적용상의 주의
1) 주사부위에 경결, 동통, 종창 등이 나타나는 일이 있으므로 관찰을 잘하고 이와 같은 증상이 일어 났을 때는 주사부위를 변경하거나 감량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할 것.
2) 감감작요법을 할때 피내주사하면 비특이적으로 심하게 국소의 자격이나 종창이 일어나는 일이 있으므로 피하에 얇게 주사할 것.
3) 기타주의 : 주사후 30분간은 의사의 감독하에 환자의 상태를 관찰할 것.
4) 아나필락시스의 위험이 있으므로 초기 용량설정은 반드시 피부검사 결과에 의하여야 하며, 본 제제 주사후 적어도 20분동안 유의 관찰할 것.
5) 베타‑아드레날린수용체 차단제를 투여한 환자는 에프네프린이나 흡입성 기관지확장제에 반응하지 아니할 수 있음.

복약지도

- 반드시 경험있는 의사의 지시 및 감독 하에 투여하세요.
- 발진, 발적,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과량으로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포장이 손상된 경우에는 사용하지 마세요.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약학정보원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의약품

의약품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알레르기치료처방셋트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