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테이블
분야 정보기초

무한구간(-∞, ∞)에서 정의된 임의의 시간함수를 부분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창을 건다’고 말하며 이 조작은 유한시간구간 밖에서는 창문 함수에 의해 실행된다. 자기상관 함수 R(τ)는 이론적으로 무한구간 -∞<τ<∞로 정의되지만 유한 길이의 실데이터에서 계산되는 표본 자기 상관 함수 (τ)는 유한구간 -M<τ<M(M>0)으로만 주어진다.

이 때 |τ|<M에서의 값을 단순히 0으로 하는 사각형 창을 걸어서 표본 자기 상관 함수를 푸리에 변환하여 얻어지는 스펙트럼 밀도, 즉 페리오도그램(periodogram)은 기브스 현상에 의해 주파수축상에서 심하게 불규칙적으로 변동하여 참 스펙트럼 밀도와는 거리가 먼 것이 된다.

페리오도그램의 불규칙 변동을 억제하려면 표본 자기 상관 함수가 창밖에서 스무드하게 0이 되도록 표본 자기 상관 함수에 상당한 무게를 곱해서 푸리에 변환하면 된다. 이 무게 함수를 시간창(lag window)이라 한다.

시간 영역에서 창을 거는 것은, 주파수 영역에서는 페리오도그램에 주파수창(spectral window)을 거는 것과 같다. 고속 푸리에 변환 때에 유한시간 길이의 데이터에 직접 거는 창을 데이터 윈도라고 한다. 〈참조어〉 윈도 시스템, 데이터 창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컴퓨터 정보용어대사전
컴퓨터 정보용어대사전 | cp명한국사전연구사 전체항목 도서 소개

컴퓨터, 정보 관련용어를 가나다순으로 설명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컴퓨터 정보용어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