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야 | 데이터 베이스 |
---|
데이터 베이스 안의 데이터가 만족할 수 있는 제약. 정합성 제약이라고도 한다. 함수종속성, 결합종속성 등 관계 데이터 베이스의 관계 속성 사이에 성립되는 제약인 종속성(dependency)도 포함된다. 이들 종속성을 손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 베이스의 설계가 이루어지는데, 손쉽게 유지할 수 없는 일관성 제약도 있다. 관계 데이터 베이스에 있어서는 하나의 기저관계 안에서 유지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제약이 관계내 제약(constraint in one relation)이다. 여기에는 함수 종속성 외에 속성값의 범위(예를 들면 연령의 값은 0에서 150까지 등), 값으로서 빈 값을 허용하느냐 등의 제약이 있다.
복수의 관계에 입각해서 검사해야 할 제약을 관계간 제약(inter-relational constraint)이라고 한다. 급료의 값과 평균 금료의 값이 다른 관계로 들어 있는 경우, 전자를 변경시키면 후자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처리는 트리거를 사용해서 실현한다. 또, 어느 시점의 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제약 뿐만 아니라 어느 시점의 데이터에서 다음 시점의 데이터로 옮기는 경우의 제약이 있다. 예를 들면 급료의 데이터는 반드시 올라가는 방향으로 밖에 갱신할 수 없는 것이 그것으로, 이와 같은 제약을 전이 제약(transition constraint)이라고 한다. 〈참조어〉 동적 제약, 관계간 제약, 관계내 제약, 전이제약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일관성 제약 – 컴퓨터 정보용어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