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배수구역의 수요량에 따른 적절한 배수를 실시하기 위하여 정수를 일시 모아두는 저류지
배수지는 급수생산량과 급수소비량의 시간적 변동 조절, 배수지 상류 측 사고발생 시 일정 수량, 수압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설치한다. 배수지 용량은 계획1일 최대급수량의 12시간 분 이상을 표준으로 하되 최소 소화용수 및 여유수량을 포함하여 최소 6시간 분 이상의 용량으로 설계가 되어야 한다.
배수지의 위치는 배수구역의 중앙부 또는 그곳에 되도록 가까운 곳으로 하는데, 적당히 높은 장소가 있으면 자연유하식 배수가 가능토록 하고, 높은 장소가 없으면 펌프 가압식 배수로 한다. 배수방식 선정시에는 자연유하식이 유지관리상 유리하지만, 급수지역내의 최소동수압이 시간최대급수량시나 화재시에도 필요한 동수압 이상을 가지도록 배수지의 저수위가 정해지는 곳이라야 하며, 배수지가 고수위일 때 배수관에 걸리는 최대수두가 관종별의 규격 최대정수두를 넘지 않게 해야 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 참고 : 물용어집(2011), 용인시 상하수도사업소
- ・ 작성자 : 전북대학교 곽동희, 중앙대학교 박태욱
태그 더 보기
환경
환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