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현대/대한민국 |
---|---|
유형 | 단체 |
분야 | 정치·법제/국방 |
요약 레바논 동명부대는 2007년 6월부터 대한민국이 레바논 남부지역에 파견한 부대이다. 유엔은 1978년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로 레바논평화유지군을 설치하여 레바논과 이스라엘에 대한 정전감시 임무를 시작하였다. 유엔이 회원국들의 참여를 요청하여, 대한민국은 2007년 6월부터 350명 규모의 동명부대를 파견하였다.
설립 목적
유엔은 1978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425호와 제426호가 채택됨에 따라 유엔 레바논평화유지군(UNIFL: United Nations Interim Force Lebanon)을 설치하고, 레바논과 이스라엘에 대한 정전감시 임무를 시작하였다.
2006년 이스라엘과 헤즈볼라의 충돌로 1천여 명의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사태가 악화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701호가 채택되었고, 평화유지군 규모를 2천 명에서 1만 5천 명으로 확대하고자 회원국의 참여를 요청하였다.
변천 및 현황
대한민국은 국회 동의를 거쳐 2007년 6월에 350여 명 규모의 레바논 평화유지단[동명부대(東明部隊)]을 레바논 남부 티르 지역에 파견하였다. 동명부대는 정찰과 감시활동을 통해 불법무기와 무장세력이 레바논 남부 작전지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외에도 피스 웨이브(Peace Wave)라는 다기능 민군작전과 인도적 지원활동을 수행한다. 창설 이후 현재까지 총 27개진 8,437명이 파견되었고, 현재는 28진이 티르 지역에서 8개월 동안 활동하고 교대를 한다.
주요 활동
동명부대는 2020년 8월 레바논 베이루트항 인근에서 대규모 폭발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자, 동명부대가 보관 중인 마스크 등 생필품 6천 세트와 현지에서 구매한 의료품 4천여 세트를 레바논 총사령부에 긴급 지원하였다. 또한, 2021년 11월에는 레바논군에 바라쿠다 장갑차 10대를 무상 양도하였으며, 지속적인 연합훈련을 통해 레바논군의 역량강화를 지원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작전활동으로 UN직원 가족대피훈련(MSUSP)으로 우발상황 시 UNIFIL 국제직원 및 레바논 현지 직원의 안전을 보장하였다. 민군작전 및 인도적 지원활동으로는 주민 숙원사업인 태양광 가로등 및 워터펌프 설치와 학교 및 공공시설 보수 · 건축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동명부대는 이스라엘과 국경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팔레스타인 자치해방기구와 갈등으로 항상 위험이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국위 선양과 유엔의 평화유지군으로서, 현지 주민들에게 의료지원 및 공공시설과 학교시설 개선, 플라스틱 재생공장 지원사업 등의 인도적 지원과 맞춤형 주민숙원사업을 통해 현지 주민의 생활여건 개선과 사회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동명부대의 성공적인 민군작전은 레바논 현지에서 호평을 받고 있으며, 레바논 남부 지역의 정세 안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티르 지역 평화유지에 기여함으로써 현지인들에게 “신이 내린 선물”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국방대학교, 『동명부대 27진 파병성과·교훈집』(국방대학교 국제평화활동센터, 2023)
- ・ 국방부, 『2022 국방백서』(국방부정책기획관실 국방전략과, 202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레바논 동명부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