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관음산 가루사

다른 표기 언어 觀音山 가루寺
요약 테이블
유형 유적
분야 종교·철학/불교

요약 북한 함경남도 단천시 관음산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사찰.

내용

가루사는 함경남도 단천시 삼거리의 관음산에 있는 작은 사찰이다. 단천 지역에는 근대까지 많은 사찰들이 있었는데, 하다면에는 옥룡사(玉龍寺), 수하면에는 화장사(華藏寺), 이중면에는 보현사(普賢寺)가 있었으며 오봉산에는 동덕사(東德寺)가 있었다. 가루사는 조선 후기인 1734(영조 10)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하나 같은 18세기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와 그 이후에 편찬된 『가람고(伽藍考)』·『범우고(梵宇攷)』 등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내력을 파악하기 어렵다. 일제강점기 31본산 시대에는 귀주사(歸州寺)의 말사였다. 현재 경내에는 대웅전과 산신각이 남아있는 것으로 전하고 있다. 대웅전은 이 사찰의 주불전(主佛殿)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단층 팔작집인데 기둥에는 약한 배흘림이 있으며 포는 다포계 형식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가람고(伽藍考)』
  • ・ 『범우고(梵宇攷)』
  • ・ 『여지도서(輿地圖書)』
  • ・ 『북한문화재해설집 Ⅱ』(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 ・ 『한국불교사찰사전』(이정, 불교시대사, 1996)
  • ・ 『북한사찰연구』(한국불교종단협의회, 199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이슈 TOP



[Daum백과] 관음산 가루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