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유적 |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요약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혜통이 창건한 사찰.
내용
풍기의 소백산(小白山)에 있는 절로, 일제강점기에는김룡사(金龍寺)의 말사였다. 한 때 유석암(留石庵)으로 부르기도 했다. 유석사의 연혁은 권상로(權相老)가 쓴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에 잘 정리되어 있다. 이 책은 「김룡사본말사지(金龍寺本末寺誌)」 · 「유석암기(留石庵記)」 · 「유석사유지(留石寺遺誌)」 등을 인용하여 유석사의 연혁을 서술하였다. 이에 의하면 유석사는 694년(효소왕 3) 혜통(慧通)이 창건하였고, 고려 말 두 차례의 중창을 거쳤다. 1368년(공민왕 17) 나옹혜근(懶翁惠勤)이 학가산(鶴駕山) 보문사(普門寺)에 주석하던 중 잠시 이 절에 옮겨와 주석했는데, 그때 왕이 친히 곡식 3,000석을 하사하여 절을 중창하였다. 그러나 1년도 채 되지 못해 사찰 건물이 전소되었다. 이에 추동(錐洞) 비로사(毘盧寺)에 있던 태고보우(太古普愚)가 제자 구곡(龜谷)을 보내 중수하게 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구곡이 이 절을 중수한 시기는 1387년(우왕 13)으로 태고보우가 입적한 뒤이며, 구곡은 보우의 제자가 아닌 혜근의 제자이다. 구곡이 보우의 제자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권상로가 참고한 「김룡사본말사지」 및 「유석사유지」는 모두 조선 후기의 관점에서 기술된 연혁임을 알 수 있다. 구곡의 중수 이후 조선 후기까지의 내력은 전하지 않는다. 1876년(고종 13) 불에 탄 절을 낙암(樂庵)과 계홍(戒洪)이 중건하였고, 1928년과 1976년의 중창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편 절에는 석조관음보살좌상 및 철조아미타불좌상, 석조석가불좌상 2구 등 여러 점의 국가유산이 있었으나 1972년에 도난당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불교사찰사전』(이정, 불교시대사, 1996)
- ・ 『한국사찰전서』(권상로, 동국대 출판부, 1979)
- ・ 『동아일보』(1972.3.1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이슈 TOP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소백산 유석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