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현대 |
---|---|
저작자 | 장진(원작), 장진·박광현·김중(시나리오), 박광현(감독) |
창작/발표시기 | 2005년 |
성격 | 영화, 극영화 |
유형 | 작품 |
분야 | 예술·체육/영화 |
소장/전승 | 필름있수다(제작) |
요약 2005년 한국의 박광현 감독이 한국전쟁과 분단을 소재로 제작한 코미디 영화.
내용
한국전쟁이 피해간 가상의 공간 동막골에 길을 잃은 국군, 인민군, 미군이 들어오면서 발생한 일을 코믹하게 보여주는 영화이다. 1950년 11월, 한국 전쟁이 한창이었지만 산골마을 동막골에서는 전쟁이 난 줄도 모르고 있었다. 이때 이곳에 미국전투기 한 대가 추락하고 미국병사 스미스(스티브 태슐러)가 마을로 들어온다. 때마침 길을 잃은 인민군 장교 리수화(정재영)와 국군에서 탈영한 표현철(신하균) 일행도 동막골에 들어오게 된다. 동막골은 촌장을 중심으로 공동생산 공동분배를 실천하며 평화롭게 살고 있었는데 갑자기 찾아온 이들 때문에 긴장감이 커진다. 그러나 총을 처음으로 본 사람들의 순수함에 오히려 국군, 인민군, 스미스는 차츰 마음을 열고 친구가 되어간다. 이들은 서로 어울려 멧돼지를 사냥하고 동막골 사람들과 어울려 지내는 동안 내 편, 네 편을 가르지 않는 동심을 회복한다. 그러나 스미스의 전투기를 찾는 과정에서 연합군이 동막골의 존재를 알게 되고 이곳이 인민군 거점지라고 생각해 동막골에 포격을 계획한다. 이 정보를 알게 된 스미스, 국군, 인민군은 동막골을 지키기 위해 연합군의 공격에 힘을 합쳐 대항하기로 한다.
의의와 평가
한국전쟁을 남북대결의 관점이 아닌 남북화해와 공조라는 관점에서 바라본 영화로 6·15선언의 정신을 영화로 보여주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2005년 6백만 명 이상의 관객이 관람해 그해 개봉한 한국영화 가운데 최고의 흥행작이 되었으며, CNN을 통해 해외에도 소개되었고, 제 4회 대한민국영화대상 최우수 작품상, 제 26회 청룡영화상 한국영화 최다관객상 등 국내 다수 영화제에서도 수상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영화진흥위원회 (www.kofic.or.kr)
- ・ 한국영상자료원 데이터베이스(www.kmdb.or.kr)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영화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웰컴투동막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