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
출생 | 1896년 |
사망 | 1945년 |
경력 |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장 |
유형 | 인물 |
직업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분야 | 역사/근대사 |
요약 일제강점기 의열단간부학교 교관, 조선의용대 전방공작대원,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개설
전라남도 담양 출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9년 3·1독립운동 이후 만주로 망명하여 애국청년혈성단(愛國靑年血誠團)에 가입하였고, 서무부장에 임명되어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뒤 남경(南京)으로 옮겨와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였고, 황포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 4기를 졸업한 뒤 중국군 고급장교를 지냈다. 1931년 3월∼1936년에는 의열단 간부학교에서 전술학 교관을 역임하였다. 1935년에는 조선민족혁명당(朝鮮民族革命黨)에 가입하여 사천성에서 김원봉(金元鳳) 등과 함께 제1특별구당부를 조직하였다. 1940년에 조선의용대 전방공작대원으로 임명되어 활동하다가,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자 제1지대 제1구대장으로 선임되었다. 중국군과 긴밀한 협조 아래 일본 점령지역에 대한 초모(招募) 공작 및 대적(對敵) 선전공작, 일본군포로 심문과 일본문서 번역, 적의 정보수집 등의 임무를 맡았고, 신임대원에 대한 교육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광복 후에 귀국하지 못한 채 상해에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권37(국사편찬위원회, 2009)
- ・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200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김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