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미인

다른 표기 언어 美人
요약 테이블
시대 현대
저작자 신중현
창작/발표시기 1974
성격 악곡
유형 작품
분야 예술·체육/대중음악

요약 대중음악 작곡가·연주인·가수인 신중현(1938∼ )이 창작한 곡.

구성 및 형식

1974년『신중현과 엽전들 1집』앞면의 1번 트랙으로 처음 발표되었다. 서양의 록 음악을 토대로 하면서 국악과 민요의 요소를 실험한 곡으로, 이른바 ‘한국적 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전기 기타와 베이스 기타의 리프(riff: 짧은 반복구)의 전주로 시작되어, 노래와 악기가 번갈아 가면서 주고받기(call and response)를 수행하는 버스(verse)에 이어 코러스(chorus)가 등장한다. 이후 전주를 변주한 간주에 이어 동일한 형식이 반복된다.

내용

“한번 보고 두 번 보고/자꾸만 보고 싶네”라는 최초의 가사에서 드러나듯, 화자인 가수(남성)의 “아름다운 그 여인”에 대한 동경과 찬사를 표현하고 있다. 코러스 부분에서 “모두 사랑하네/나도 사랑하네”는 이 감정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승화하고 있다.

현황

록 음악이라는 장르로서는 드물게 1974년에 대중가요로서 큰 히트를 기록했다. 불행히도 1975년 한국예술윤리위원회(뒤의 한국공연윤리위원회)가 추진한 ‘가요정화운동’에 의해 금지곡으로 지정되었다. 1987년 해금(解禁)된 이후에는 작곡자 본인을 포함한 여러 후배 음악인들에 의해 다시 녹음되고 연주되었다. 1995년 록 밴드 봄여름가을겨울의 5집 앨범 『Mystery』의 2번 트랙, 2011년 걸 그룹 원더 걸스의 2집 앨범『Wonder World』의 4번 트랙이 대표적 예들이다.

의의와 평가

한국 록의 고전으로 평가받는 작품이자 장르의 벽을 넘어 대중가요로서도 인기를 누리고 있다. 신중현의 장남으로 록 밴드 시나위를 이끄는 신대철은 이 곡을 “20세기의 아리랑”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 팝의 고고학 1970: 한국 포크와 록, 그 절정과 분화』(신현준·이용우·최지선, 한길아트, 2005)
  • ・ 『일간스포츠』(2009.04.2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미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