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성광학교

다른 표기 언어 成光學校
요약 테이블
시대 현대
위치 경기 하남시 신장로 55번길 71(천현동 390번지 )
설립 1984년 12월 28일
성격 사립특수학교
유형 단체
분야 교육/교육

요약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에 있는 사립 특수학교.

연원 및 변천

1984년 12월 28일 설립되고, 1985년 3월 1일 초등학교 1학년 1학급 편성으로 시작되었다. 1989년 3월 1일 유치부 인가, 1989년 5월 8일 학교법인 교산학원 인가를 받았다. 1996년 12월 26일 고등부 6학급, 2011년 3월 전공과 2학급이 인가 편성 하였다.

현황

교훈은 착하고,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교목은 소나무로서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의지를 상징하고, 교조는 비둘기로 순수와 온유 그리고 자유와 평화를 상징한다. 교화는 철쭉꽃으로 사랑과 즐거움을 추구하고 있다.

교육목표는 장애극복 의지를 함양하여 사회생활을 위한 자립능력 향상과 직업적응력을 신장시켜 미래를 아름답게 사는 사람으로 육성하는 것이다.

홍익인간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을 목표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종일반 활동은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전일제 교육과 보육이 연계된 서비스로서의 프로그램 통해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고 특수교육대상 부모의 사회참여 및 가정생계의 안정과 교육 복지 추구에 목적이 있다. 자원봉사자는 봉사 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하여 교육의 질적인 향상도모하고 봉사자에게 특수교육과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개성시키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문제해결을 위한 참여의식을 고취시키는 등 사회교육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본교에서 운영하는 늘해랑 학교는 방학 중 학생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여 성취감을 느끼고, 부모들에게는 사회참여 및 가정생계의 안정을 취하도록 함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현장실습을 통해 효율적인 직업교육을 통한 전문 직업능력향상 현장, 조직적인 학교기법운영을 통한 현장중심의 직업교육 활성화, 지역사회와 연계한 진로, 직업교육실시, 유관기관과의 진로 직업교육 네트워크 구축하여 졸업 후 취업이 가능하도록 하고있다.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과학탐구방은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적 원리를 직접 조작하고 체험해보도록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및 잠재력을 배양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본 프로그램은 장애 학생들에게 간과되기 쉬운 과학에 대해서 보다 친숙하고 흥미를 갖도록 하여 현대인으로 성장하도록 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성광학교(www.sksk.org)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성광학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