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현대 |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간동 78번지 |
설립 | 1989년 |
성격 | 미술관, 사립 미술관 |
유형 | 단체 |
설립자 | 금호아시아나 그룹 |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요약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간동에 있는 사립 미술관
현황
금호미술관은 1989년 관훈동에 금호갤러리로 개관하였다. 1996년 11월 개관 7주년을 기념하여 사간동으로 신축·이전하면서 금호미술관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미술관 건물은 재미건축가 김태수에 의해 설계되었다. 건물의 외벽은 화강암으로 마감을 하고 상단에는 짙은 띠무늬 창문을 설치하여 미술관과 마주보고 있는 경복궁 돌담과 어우러지도록 하였다. 지하 3층, 지상 4층으로 이루어졌으며 7개의 전시실과 강의실, 카페테리아, 아트샵이 있다.
소장품은 한국 근·현대 미술품을 위주로 하며, 고희동, 도상봉, 오지호, 임직순 등의 근대 서양화가들과 백남준, 이우환, 김환기, 김창렬 등 국제 무대에서 활동하는 한국 현대미술가들, 변관식, 허건, 허백련 등 한국화가의 작품 등 약 3,0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금호미술관은 미술계의 관심과 지원이 기성 유명화가들에게 편중되어 있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역작가와 청년작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사업에 주력해 왔다. 포트폴리오 심사와 작가 인터뷰를 통해 젊은 작가를 선정하여 개인전을 지원해주는 금호영아티스트(KUMHO YOUNG ARTIST)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2006년부터는 국립현대미술관 국립미술 창작 스튜디오와 공동으로 기획하고 레지던스 프로그램 참여작가들과 평론가, 큐레이터가 협업을 하여 만드는 ‘프로포즈(PROPOSE) 7’를 개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동시대 한국 미술을 진단하고 전망해 보는 다양한 기획전을 개최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획전으로는 ‘호앙미로’, ‘80년대 형상미술’, ‘한국모더니즘의 전개’, ‘WHO ARE YOU’, ‘미술 속의 음악’, ‘국사(하)’ 등이 있다.
또한 일반인들이 예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접목한 문화 예술 아카데미강좌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시와 관련한 각종 워크샵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진행하고 있다. 2005년에는 경기도 이천에 금호창작스튜디오를 개관하여 신진작가들에게 창작 공간을 지원하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금호미술관(www.kumhomuseum.com)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금호미술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