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고성탈박물관

다른 표기 언어 Goseong Mask Museum , 固城─博物館
요약 테이블
시대 현대
위치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율대2길 23
설립 2005년
성격 박물관, 공립박물관
유형 단체
설립자 고성군수
분야 예술·체육/회화

요약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에 있는 탈 전문 공립박물관.

개설 및 설립목적

한국의 탈문화를 연구하고 일반인에게 신앙탈 및 예능탈 수집품을 공개함과 동시에 사회교육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연원 및 변천

1987년 개관한 갈촌탈박물관의 관장 이도열이 2005년 고성군에 박물관 소장품 300여점을 기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성군에서 새로 전시관을 설립하여 공립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개관 이후 꾸준히 소장품을 확보하여 2009년 상설전시실을 개편하였다.

현황

한국 및 세계탈 800여 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1층은 전시실, 2층은 사회교육실 및 수장고 시설, 사무실이다.

1층 제1전시실에서는 오광대 지역(낙동강 서쪽지역) 탈을 중심으로 국내 탈을 지역별로 전시하고 있다. 특히 고성오광대 말뚝이 탈 등 고성오광대보존회에서 사용하던 탈을 시대별로 전시하였으며, 영상실을 함께 갖추고 있다. 제2전시실에서는 고성 및 인근지역의 민속 및 공예문화와 관련된 전시를 하고 있으며, 한국탈 및 외국탈의 연구에 따른 주제별 기획전시를 하고 있다.

야외에는 해마다 개최하는 장승학교에서 만들어진 장승들로 장승공원을 조성하여 관람객들의 휴식공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성 및 인근지역의 오광대문화권을 대표하는 탈전문 박물관으로서, 연차적인 자료수집을 통한 전시품 보완, 관련 학술연구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왜곡되거나 사라져가는 올바른 탈문화를 보급하기 위해 사회교육 활동을 활성화하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상설전시실』(고성탈박물관, 2009)
  • ・ 고성탈박물관(tal.goseong.go.kr)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고성탈박물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