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현대 |
---|---|
유형 | 단체 |
분야 | 사회/사회구조 |
요약 1962년 정부에 의해 조직된 넝마주이의 단체.
개설
1962년 정부는 넝마주이들에게 관할시청에 등록하여 증명을 받고, 지정된 복장과 명찰을 달고 지정구역 내에서만 취업하도록 하였으며, 미등록 넝마주이는 처벌하고 폐품 수집을 하지 못 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등록된 넝마주이들은 근로재건대라는 명칭으로 경찰의 관리, 감독을 받았다.
연원 및 변천
1962년 6월 정부는 사회적으로 잠재적 우범자로 간주되던 넝마주이를 관리하기 위해 등록 사업을 벌였다. 이에 따라 서울 지역의 넝마주이 1,280명이 근로재건대로 조직되었으며, 11개 경찰서에서 이들을 수용하고 관리하였다. 또한 전국적으로 각 경찰서별로 근로재건대가 군대식 체계로 조직되었으며, 당시 넝마주이는 서울에 1,218명, 부산에 1,180명, 대구에 600명, 대전에 500명 등 전국 주요 도시에 약 3,490명이 등록되어 있었다.
근로재건대는 1970년대 후반까지 경찰뿐만이 아니라 종교, 시민단체에 의해서도 운영되었으며, 1979년 6월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자활근로대로 통합되었다. 자활근로대의 조직 및 운영관리는 경찰이 담당하였고, 시설 및 복지환경 개선을 보건사회부가 담당하였다. 1995년에 이르러 자활근로대원의 감소로 폐지되었다.
196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유지된 이 단체는 한국 산업화에서 소외된 넝마주이를 비롯한 빈민을 ‘잠재적 범죄자’로 간주하고, 경찰의 감시·감독을 받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자활근로대 운영폐지』(경찰청 방범국, 1995)
- ・ 「제도로서의 인권과 인권의 내면화」(이정은, 『사회와 역사』 제79집, 2008)
- ・ 「포이동 266번지: 넝마주이마을과 넝마공동체」(윤수종, 『진보평론』 제29호, 2006)
- ・ 「넝마공동체의 성격과 그 변화」(윤수종, 『민주주의와 인권』 제2권 1호, 2002)
- ・ 『동아일보』(1962.5.23)
- ・ 『경향신문』(1962.5.2)
- ・ 『동아일보』(1961.6.2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근로재건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