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선사/청동기 |
---|---|
건립시기 | 청동기시대 |
성격 | 고분군, 돌널무덤군 |
유형 | 유적 |
소재지 | 중국 길림성 연길시 장백향 하룡촌 11대 |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요약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연길시(延吉市) 장백향(長白鄕) 하룡촌(河龍村) 11대(隊)에 있는 청동기시대 돌널무덤군.
내용
무덤들은 포이합통하(布爾哈通河)와 해란강(海蘭江)이 만나는 지점에서 동남쪽으로 1㎞ 정도 떨어진 해발 25m의 나지막한 구릉 서쪽 경사면의 경작지에 위치하고 있다. 행정 구역상 하룡촌 11대(隊, 新五隊)에 속한다. 남쪽에는 해란강과 함께 그 너머에 넓은 개활지가 있고, 동쪽에는 가파른 산들이 있다. 이곳에는 마을 주민들이 파놓은 여러 구덩이가 있는데, 그 구덩이에서 5∼6기의 돌널무덤이 파괴된 채 발견되었다. 돌널무덤은 풍화된 화강암 암반토를 파낸 뒤 바닥과 벽에 잇대어 강돌을 깔고 쌓은 다음 돌널의 덮개돌을 올린 구조이다. 마을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무덤들이 파괴되었을 때, 돌도끼와 함께 갈아 만든 돌화살촉, 두드리거나 깨뜨려서 만든 흑요석 화살촉 등이 수습되었다고 한다. 1985년연변문물보사대(延邊文物普査隊)에서 지표 조사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돌널무덤군은 연변조선족자치주 일대 청동기문화의 성격과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청동기문화는 동쪽의 서단산문화(西團山文化)와 돈화(敦化) 일대의 돈화권 청동기문화, 북쪽의 앵가령상층유형(鶯歌嶺上層類型) 등과 구별되는 독특한 지역적 유형을 이루고 있었다. 이를 용정시(龍井市) 유정동 유적을 표지로 하여 옥저 선조의 문화 유형으로 인식되는 유정동유형으로 분류한다. 이 무덤군은 유정동유형 돌널무덤 가운데 하나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서단산문화와 길림 지역의 청동기문화』(오강원, 학연문화사, 2008)
- ・ 『延吉市文物志』(延吉市文物志編寫組, 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연길하룡십일대돌널무덤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