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현대 |
---|---|
성격 | 항구 |
유형 | 지명 |
면적 | 면적 5만 5869㎡, 안벽 260m, 방파제 1,919m, 물양장 1,087m |
소재지 |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요약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에 있는 연안항.
형성 및 변천
1970년대부터 포항제철의 원료 출하와 포항항의 대체항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1970년 연안화물 및 여객수송을 위해 제2종 어항으로 지정되었으며, 1985년에는 기본정비계획을 수립하였다. 또 1986∼1994년 사이에 물양장을 축조하였고, 1993년까지 방사제 축조 및 보강을 하여 1993년 연안항으로 개칭되었다.
1995∼1996년에 또 다시 물양장을 축조하고, 1996년에는 제1차 연안항 기본계획을 고시하였으며, 2001년까지 방파제 축조를 하였다. 그리고 2002년에는 제2차 전국 연안항 항만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2002∼2003년에는 방파제 축조를, 2004∼2005년에는 물양장을 축조하였다.
구성
항계 수면적은 88만 8천㎡, 면적은 55,869㎡로 안벽이 260m, 방파·방사제 1,918.5m, 물양장 1,087m, 야적장 53,504㎡로 접안능력은 5,000DWT 두 척으로 접안능력은 112,000톤이며 하역능력은 73만 9천 톤이었다.
현황
항내 수 면적이 888천㎡, 수심 3.5∼7m, 간만의 차가 10.4㎝이고, 경상북도 울진군 남쪽 끝에 입지한다. 동해 중부해역의 주요 어항(漁港)이며 꽁치·오징어·고등어·대게·가자미 등 동해에서 생산되는 모든 어종의 집산지이다. 후포항 여객선 터미널에서 울릉도까지 여객선이 운항되었으나 2006년부터 중지되었다. 주요 취급화물은 수산물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2009 국토해양 통계연보』(국토해양부, 2009)
- ・ 『포항항 통계자료』(포항지방해양항만청, 2009)
- ・ 『전국연안항 기본계획 수정계획』(해양수산부, 2007)
- ・ 『해양수산통계연보 2007』(해양수산부, 200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후포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