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려 |
---|---|
문화재 지정 | 국보 제214호 |
성격 | 불교유물, 불구, 향로 |
유형 | 유물 |
크기 | 높이 38.1㎝, 입지름 30㎝ |
제작시기 | 1289년경 |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 |
요약 고려시대의 향로.
내용
198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38.1㎝, 입지름 30㎝.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수평으로 넓은 전이 있는 노신(爐身)과 나팔형의 받침으로 된 전형적인 고려시대 향로로서, 받침이 높아 경쾌하고 명랑한 감을 준다.
전에는 연주문(連珠文) 안에 연화당초문(蓮花唐草文)을 둘렀고, 노신에는 대칭되는 위치에 쌍선으로 된 팔화형(八花形) 구획 두 곳을 만든 다음 그 안에 운룡(雲龍)과 쌍봉(雙鳳)을 극히 미세한 은사(銀絲)로 상감하였다.
노신의 남은 공간에는 갈대와 연꽃을 아래위로 배치하고, 위에는 기러기가 날고 밑에는 오리가 떠 있어서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의 응용으로 보인다. 받침에는 쌍선으로 당초문을 촘촘히 입사하였고 하단에는 여의두문(如意頭文)을, 굽에는 화문을 입사하였다.
받침 굽도리에는 ‘己丑二月日興王寺(기축2월일흥왕사)’로 시작되는 자경(字徑) 약 1㎝의 명문(銘文) 34자가 입사되었다. 명문에 의하여 이 향로가 경기도 개풍군 흥왕사에 있던 것이며 제작시기는 1289년(충렬왕 15)경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국보』공예(진홍섭 편, 예경산업사, 198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