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홍응

다른 표기 언어 洪應 동의어 응지(應之), 휴휴당(休休堂), 충정(忠貞),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출생 1428년(세종 10)
사망 1492년(성종 23)
경력 도승지, 지중추부사, 좌의정
유형 인물
직업 문신
성별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요약 조선전기 지중추부사,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응지(應之), 호는 휴휴당(休休堂). 홍유용(洪有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영중추부사 홍덕보(洪德輔)이고, 아버지는 한성부윤 홍심(洪深)이며, 어머니는 이조참의 윤규(尹珪)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51년(문종 1) 증광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좌정언으로 등용되었다. 사가독서(賜暇讀書: 문흥을 일으키기 위하여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만 전념케 하던 제도)를 한 뒤 교리·필선·보덕을 지냈다.

1463년(세조 9)에 도승지로 있을 때에 영응대군(英膺大君)과 함께 『명황계감(明皇誡鑑)』을 국역하였다. 1466년 발영시(拔英試)에 2등으로 급제하고, 1468년에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 그 뒤 지중추부사로 승직되고 익성군(益城君)에 봉직되었다.

1471년(성종 2) 다시 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에 오르고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으로 진봉되었다. 1479년 우의정이 되고 1485년에 4도 순찰사를 거쳐, 좌의정이 되었다. 풍채가 단아하고 몸가짐에 법도가 있었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하였다. 성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종실록(文宗實錄)』
  • ・ 『세조실록(世祖實錄)』
  • ・ 『예종실록(睿宗實錄)』
  • ・ 『성종실록(成宗實錄)』
  • ・ 『국조방목(國朝榜目)』
  • ・ 『용재집(容齋集)』
  • ・ 『해동잡록(海東雜錄)』
  •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홍응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