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근대/개항기 |
---|---|
출생 | 1819년(순조 19) |
사망 | 미상 |
경력 | 대사성, 수원부유수, 의정부좌참찬, 판의금부사 |
유형 | 인물 |
직업 | 관료 |
성별 | 남 |
분야 | 역사/근대사 |
본관 | 풍산(豊山) |
요약 개항기 예조판서, 의정부좌참찬,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한 관료.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유성(幼盛), 호는 소운(小芸). 서울 출신. 도정 홍한주(洪翰周)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6년(고종 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홍문관부수찬에 임명되고 이어 사간원헌납이 되었다.
1875년 성균관대사성을 역임하고 이어 동래부사가 되어, 이듬 해 부산주재 일본 관리관 곤도[近藤眞鋤]와 「부산항일인거류지조계조약(釜山港日人居留地租界條約)」을 체결하였다. 1877년 다시 곤도와 「조일표류선취급협정(朝日漂流船取扱協定)」을 체결, 그 수완을 인정받아 그 해 도총부부총관에 특별 발탁되고, 이어 예조참판이 되었다.
1879년초 일본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의 접반관(接伴官)이 되어 원산·인천 등지의 개항을 서두르는 일본의 진출을 저지하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그 공로로 1880년 정경(正卿)으로 승탁(陞擢), 형조판서에 이어 예조판서가 되었다.
1881년 진위겸진향사(陳慰兼進香使)로 중국에 다녀와 이듬 해 경기도관찰사가 되었고, 임오군란 당시에는 중국제독 우창칭(吳長慶)을 영접하였다.
1883년 이래 수원부유수로 재직하다가 1888년 판의금부사, 곧 이어 다시 예조판서, 이듬해 의정부좌참찬을 역임하고, 1890년 재차 판의금부사가 되었다. 글씨를 잘 썼는데 특히 전서에 능하였다. 시호는 정헌(貞憲)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고종실록』
- ・ 『순종실록』
- ・ 『고종기사』
- ・ 『승정원일기』
- ・ 『문과방목』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근세/근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홍우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