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출생 | 1573년(선조 6) |
사망 | 1663년(현종 4) |
경력 | 부산진첨절제사, 인동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 동지중추부사, 장흥부사 |
유형 | 인물 |
직업 | 무신 |
성별 | 남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양천(陽川) |
요약 조선시대 인동도호부사, 동지중추부사, 장흥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탁보(卓甫). 1606년(선조 39) 무과에 급제하고 곧 선전관에 임명되었는데 영창대군(永昌大君)이 강화로 쫓겨갈 때 선전관으로 따라갔다.
이어 절충장군(折衝將軍)·가을파진첨절제사(加乙波鎭僉節制使)를 거쳐 조방장(助防將)으로 승임되어 1년 동안 함흥에 있다가 할머니상을 당하여 사직하였다.
1622년(광해군 14) 첨지중추부사, 이듬해 결성병마도위(結城兵馬都尉)를 지내고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위장(衛將)으로 인조를 따라 강화에 호종하였다. 그 뒤 부산진첨절제사가 되고 1634년 인동도호부사(仁同都護府使)가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때 내승 겸 선전관으로 왕과 함께 남한산성에 피난하였다가 이듬해 호종의 공으로 동지중추부사에 올랐다. 이어 낙안·장흥의 부사를 역임하고, 1641년 어머니상을 당하여 전려(田廬)로 돌아갔다.
독서하다가 고인의 격언을 얻으면 벽 위에 써놓고 반성의 자료로 삼았다. 1652년(효종 3) 자헌대부(資憲大夫), 1662년(현종 3)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올랐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선조실록(宣祖實錄)』
-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허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