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출생 | 1542년(중종 37) |
사망 | 1601년(선조 34) |
경력 | 예조좌랑, 장령, 전라도관찰사, 호조참판 |
유형 | 인물 |
직업 | 문신 |
성별 | 남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청주(淸州) |
요약 조선시대 호조참판, 좌참찬,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공칙(公則), 호는 남강(南崗). 증승지 한홍주(韓弘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이조참판 한진(韓鎭)이고, 아버지는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한수경(韓守慶)이며, 어머니는 사의(司議) 유조의(柳祖誼)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66년(명종 2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에 등용되었다. 예조좌랑·장령·좌승지·전라도관찰사·호조참판 등을 지냈다. 1588년(선조 21) 우참찬이 되어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안악군수 이축(李軸), 재령군수 한응인(韓應寅) 등이 연명으로 정여립(鄭汝立)의 모역사건을 알리는 고변서(告變書)를 조정에 비밀장계로 올렸다. 그 공으로 1590년 평난공신(平難功臣) 2등이 되고 좌참찬에 올라 청천군(淸川君)에 봉하여졌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호조판서로 순화군(順和君)을 호종, 강원도로 피난하였고, 이듬해 한성부판윤에 전임되었으며, 진하 겸 주문사(進賀兼奏聞使)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와 이조판서가 되고, 1595년 사은 겸주청사(謝恩兼奏請使)로 또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寫字官)을 지냈고, 광주(廣州)의 「우언겸묘표(禹彦謙墓表)」를 썼으며, 필적으로 모간(模刊)한 것이 있다. 평소 교유(交遊)를 즐기지 않았으며, 근면하고 검소하여 죽은 뒤 장사를 치를 돈이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시호는 정익(靖翼)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선조실록(宣祖實錄)』
- ・ 『국조방목(國朝榜目)』
- ・ 『백곡집(柏谷集)』
- ・ 『기언(記言)』
- ・ 『순암문집(順菴文集)』
- ・ 『대동서법(大東書法)』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한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