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
설립 | 1931년 |
성격 | 독립운동단체 |
유형 | 단체 |
설립자 | 김구(金九) |
분야 | 역사/근대사 |
요약 1931년 중국 상해에서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내용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령 김구(金九)가 한중 우의(韓中友誼)와 일본 수뇌암살을 목적으로 1931년 조직하였다.
간부는 단장인 김구를 비롯해 이유필(李裕弼)·이수봉(李秀峰)·김석(金皙)·안공근(安恭根) 등이며, 단원은 이봉창(李奉昌)·윤봉길(尹奉吉)·이덕주(李德柱)·유진만(兪鎭萬)·최흥식(崔興植)·유상근(柳相根) 등이다.
만주사변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중국인의 한국인에 대한 나쁜 감정을 없애고, 독립운동에 있어 새로운 국면을 전개하기 위해 일제에 대한 파괴와 암살을 계획하였다. 이것은 한 사람을 죽여서 만 사람을 살리는 방법이 혁명수단의 근본이라는 취지에서 수행되었다.
1931년 말 김구 등은 일본 천황의 암살을 계획하고 이봉창을 동경(東京)으로 밀파하였다. 1932년 1월 초순 동경에 도착한 그는 1월 8일사쿠라다문(櫻田門) 앞에서 일본 천황에게 폭탄을 투척하고 잡혀 사형에 처해졌다. 이 사건은 항일민족운동에 새로운 활력소 구실을 하였다.
중국 국민당(國民黨) 기관지 『국민일보』는 「한인이봉창저격일황불행부중(韓人李奉昌狙擊日皇不幸不中)」이라는 보도를 대서특필하였고, 이것이 문제가 되어 일본군들로 하여금 상해사변(上海事變)을 일으키게 하였다.
그 후 4월 29일윤봉길(尹奉吉)이 상해 훙커우공원(虹口公園)에서 거행된 천장절축하장(天長節祝賀場)에 폭탄을 던져 시라카와(白川義則) 군사령관, 우에다(植田謙吉) 육군대장, 노무라(野村吉三郎) 해군중장, 시게미쓰(重光葵) 공사 등 7명을 살상하고 잡혀 사형되었다.
이 밖에도 1932년 4월이덕주(李德柱)·유진만(兪鎭萬)의 조선총독암살미수사건, 최흥식·유상근의 국제연맹조사단원암살미수사건 등이 발각되어 그 배후에 이 단체가 조종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도왜실기(屠倭實記)』
- ・ 「대한민국임시정부」(조동걸, 『한국사』21, 국사편찬위원회, 1978)
- ・ 『朝鮮獨立運動』Ⅱ(金正明 編, 原書房, 196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한인애국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