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도기 신발모양 명기

다른 표기 언어 陶器 履形 明器 동의어 토리, 도기 이형 명기
요약 테이블
시대 고대/삼국/가야
유형 유물
분야 예술·체육/공예

요약 가야 시대의 신발 모양 토기.

내용

197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길이 23.5㎝, 너비 6.8∼7.2㎝.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회갈색(灰褐色)의 경질토기(硬質土器)로, 모양은 근대의 여자 고무신과 비슷하다.

앞부리는 코가 높게 나와 있어서 버선발을 끼울 수 있게 되어 있고, 양 옆에는 각각 4, 5개씩의 구멍이 나 있으며 발등을 덮는 부분에도 하나의 구멍이 나 있어서 모두 9, 10개의 구멍을 이용하여 끈을 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멍이 있는 신발의 테두리에는 점렬사선문(點列斜線文)이 띠처럼 둘러졌고, 뒤축에는 신을 벗고 신을 때 편리하도록 손잡이 자락이 부착되어 있다. 형태는 가죽신을 그대로 모방한 듯하다.

이 신발은 무령왕릉(武寧王陵)에서 나온 금속제 신발과 달리, 당시에 실제로 사용하였던 신을 그대로 재현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확한 출토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5, 6세기경 가야 지방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 ・ 『국보』3(최순우 편, 예경산업사, 198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도기 신발모양 명기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