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태극서관

다른 표기 언어 太極書館
요약 테이블
시대 근대/개항기
설립 1908년 5월
성격 서점
유형 단체
설립자 이승훈, 안태국
분야 역사/근대사

요약 1908년 5월 이승훈(李昇薰)·안태국(安泰國) 등이 평양에서 서적이나 유인물의 출판과 공급을 목적으로 설립한 서점.

내용

안창호(安昌浩)·양기탁(梁起鐸) 등이 1907년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하여 결성한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 조직의 산하기관 구실을 하였으며, 신민회원들의 연락장소 및 집회장소로 자주 활용되었다.

본래 신민회에서는 평양 뿐만 아니라 전국에 태극서관의 지점을 설치하고자 하였으나, 실제로는 1910년 8월 서울에 제2태극서관을 개점하는 데 그치고 말았다. 서점의 운영은 안태국이 책임을 지고 있었으나, 그가 서울의 지점을 운영하게 되자 송종원(宋鍾源)·김근형(金根瀅)·이덕환(李德煥) 등이 관여하였다.

이 서관에서는 직접 서적의 출판을 계획하고 있었으나 실행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고, 최남선(崔南善)이 주관한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 간행서적과 『소년(少年)』 잡지, 그리고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등의 판매망을 확보하고 있었다.

아울러 서적판매 뿐 아니라 측량기구와 학용품 및 과수묘목도 판매하였다. 이 서관은 신지식과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서적의 공급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상업적 이윤 추구에는 관심이 없던 비상업적 기관으로 보인다.

그러나 1911년 이른바 ‘105인사건'으로 신민회 회원들이 일제에 검거되자, 서점도 폐업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동오안태국의 민족운동연구」(홍영기, 『국사관논총』40, 1992)
  • ・ 「신민회와 남강의 경제활동연구」(윤경로, 『남강이승훈과 민족운동』, 남강문화재단출판부, 1988)
  • ・ 「신민회의 창건과 그 국권회부운동」하(신용하, 『한국학보』9, 197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근세/근대

근세/근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태극서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