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근대 |
---|---|
유형 | 제도 |
분야 | 역사/근대사 |
요약 조선 말기 관료의 최고 직계(最高職階).
내용
1894년(고종 31) 7월 갑오개혁으로 관료제도가 대폭 개편되었다. 관료의 등급이 1품에서 9품까지 정 · 종(正從)을 합하여 18품급(品級)이던 것을 1·2품에는 정 · 종을 두되, 3품에서 9품까지는 이를 없애 모두 11개의 품급으로 축소하였다.
아울러 1품에서 9품까지를 당상(堂上) · 당하(堂下) · 참상(參上)의 세 직계로 나누던 것을 없애고, 칙임 · 주임(奏任) · 판임(判任)으로 3대별하였다. 이때 정1품에서 종2품까지를 칙임관이라 하였다.
적왕손(嫡王孫) · 총리대신 · 왕손 · 종친은 정1품, 각 아문대신과 의정부 좌우찬성(左右贊成)은 종1품, 도찰원 도헌(都察院都憲)과 궁내부 및 각 아문협판, 경무사 등은 정2품 내지 종2품으로 각각 보(補)하였으며, 이들을 칙임관이라 하였다. 무관의 경우 대장 · 부장(副將) · 참장(參將) 등 장관급(將官級)이 칙임관이었다.
칙임관의 임명절차는 중앙관의 경우 총리대신이 각 아문대신, 의정부 좌우찬성, 도헌과 만나서 협의, 후보자를 3배수로 천거하면 국왕이 이중에서 임명하였다. 지방관의 경우 역시 총리대신이 각 아문대신 및 협판 · 도헌과 협의하여 후보자를 2배수 천거하면 국왕이 임명하였다.
1895년 3월 관료제도가 다시 대폭 개편되어, 11품급으로 나누던 관료의 등급을 칙임관 1∼4등, 주임관 1∼6등, 판임관 1∼8등으로 모두 18등급으로 개정하였다.
이때 총리대신 · 각 부 대신 · 궁내부대신 · 태자경(太子卿)은 칙임관 1등으로, 중추원의장 및 부의장은 칙임관 2등으로, 궁내부 협판 · 시종원경(侍從院卿) 및 내각 각 부 협판 · 특명전권공사 · 경무사(警務使)는 칙임관 2등 내지 3등으로 보하였다.
내각총서(內閣總書)와 중추원 1등의관 · 궁내부 중승(中丞) · 장례원경(掌禮院卿) · 회계원장 · 시강(侍講) · 일강관(日講官) · 규장원경(奎章院卿) · 내장원장(內藏院長) · 제용원장(濟用院長) · 각 궁 대부(大夫) · 첨사(詹事)는 칙임관 3등 내지 4등으로, 관찰사는 칙임관 3등 내지 주임관으로, 궁내부 묘궁제(廟宮提)는 칙임관 4등으로, 각 부 1등국장과 변리공사는 칙임관 4등 내지 주임관으로 각각 보하였다.
무관의 경우 장관급 및 그 상당관(相當官)이 칙임관이었다. 그리고 의정부제가 폐지되고 내각제가 시행됨에 따라 칙임관의 임명 절차도 개정되어 내각회의를 거친 뒤 국왕이 임명하도록 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고종실록(高宗實錄)』
- ・ 『일성록(日省錄)』
- ・ 『한국행정제도사(韓國行政制度史)』(정시채, 법문사, 1985)
- ・ 『한국사강좌(韓國史講座)』 5(이광린, 일조각, 1981)
- ・ 『한말근대법령자료집(韓末近代法令資料集)』 1∼9(송병기 외, 국회도서관, 1971·1972)
- ・ 『관보(官報)』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근세/근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칙임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