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려 |
---|---|
출생 | 미상 |
사망 | 미상 |
경력 | 좌사간, 민부상서, 예문관제학 |
유형 | 인물 |
직업 | 관리, 문신 |
대표작 | 명심보감(明心寶鑑) |
성별 | 남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추계(秋溪) |
요약 고려후기 좌사간, 민부상서,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개설
추계추씨(秋溪秋氏)의 입향시조이다. 호는 노당(露堂).
생애 및 활동사항
충렬왕 초 과거에 급제하여 안동서기(安東書記)·직사관(直史館)을 거쳐 좌사간(左司諫)에 올랐다.
1298년(충렬왕 24) 환관 황석량(黃石良)이 권세를 이용, 자신의 고향인 합덕부곡(合德部曲: 지금의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을 현(縣)으로 승격시키려고 할 때, 그 서명을 거부하자 황석량의 참소로 순마소(巡馬所)에 투옥되었다. 뒤에 풀려나와 시랑으로서 북계 용주(龍州)의 수령을 역임하였다.
충렬왕 말년 안향(安珦)에 의하여 발탁되어 이성(李晟)·최원충(崔元冲) 등과 함께 7품 이하의 관리, 혹은 생원들에 대한 유학교육을 담당하였으며, 한문교양서인 『명심보감』을 편찬하였다고 한다. 민부상서(民部尙書)·예문관제학에 이르러 치사(致仕)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고려사(高麗史)』
- ・ 『역옹패설(櫟翁稗說)』
-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추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