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백자 청화 운룡문 항아리

다른 표기 언어 白磁 靑畵 雲龍文壺 동의어 청화백자운룡문호, 백자 청화운룡문 입호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유형 유물
분야 예술·체육/공예

요약 청화안료로 문양을 장식한 조선 후기의 백자 항아리.

개설

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5.5㎝, 입지름 14.7㎝, 밑지름 14.7㎝.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수직으로 낮게 선 입 부분에서부터 어깨로 서서히 팽창되었다가 다시 서서히 좁아지며 저부에서 약간 벌어지는 형태의 항아리이다.

내용

몸체의 중앙부 세 곳에 능화형(菱花形: 마름꽃 모양) 화창(花窓)을 배치하고, 그 속에 각각 구름 속에서 용이 여의주(如意珠)를 희롱하고 있는 모습을 청화안료로 그려놓았다.

유약은 투명하고 광택이 좋은 백자유로 전면에 가는 빙렬(氷裂)이 그물처럼 나 있으며, 표면은 옅은 회백색이다. 굽은 접지면 안쪽을 파낸 안굽으로 접지면(接地面)의 유약을 훑어내고 내화토(耐火土)를 얇게 발라서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종속문양대(從屬文樣帶)가 없이 큼직한 화창 속에 운룡문만 시문(施文)된 것이 특이하다. 문양 구성이나 기형(器形)·유약의 특징 등으로 보아 조선 후기 운룡문호 중 이른 시기에 속하는 작품으로 보여 18세기 후반경 경기도 광주 분원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22 광주분원리요청화백자(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94)
  • ・ 『조선백자전』Ⅱ(호암미술관, 1985)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백자 청화 운룡문 항아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