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유형 | 유물 |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요약 조선 전기의 백자 접시.
개설
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9㎝, 입지름 16㎝, 밑지름 9.1㎝.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내용
거의 수평으로 벌어진 키 낮은 몸체에 끝이 도톰한 전이 달려 있는 전형적인 조선 전기의 전접시 형태이다. 그러나 특이하게 접시 안의 바닥 중앙에 작은 원각(圓刻)이 새겨져 있어 잔받침일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이 전접시와 함께 작은 백자 잔이 전해오고 있어 술잔의 받침대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암청색(暗靑色)의 청화로 바닥 중앙의 둥근 홈 속에 ‘忘憂臺(망우대)’라 쓰고, 그 둘레에 간결하면서도 능숙한 필치로 국화 두 포기를 그렸으며, 그 위쪽에는 날개를 떨며 날고 있는 벌 한 마리를 배치하였다. 접시 테두리 윗면에는 초기 청화백자에 종속문(從屬文)으로 자주 사용되는 원주문(圓珠文) 37개가 띠를 이루며 장식되어 있다.
순백(純白)의 치밀한 태토(胎土)에 담청색(淡靑色)을 머금은 아름다운 백자유가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어 있다. 굽다리에는 가는 모래를 정교하게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어, 경기도 광주의 초기 백자요지에서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전반경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드물게 보는 깨끗한 상품(上品) 백자질과 시정(詩情)이 넘치는 조촐한 청화 문양이 아주 잘 어울리는 작품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국보』8 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4)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