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백자 청화 초화문 필통

다른 표기 언어 白磁 靑畵 草花文 筆筒 동의어 청화백자난초문지통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유형 유물
분야 예술·체육/공예

요약 조선 후기의 백자 필통.

개설

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6㎝, 입지름 13.1㎝, 밑지름 12.6㎝.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내용

입 부분과 바닥 부분이 약간 벌어진 원통형의 몸체를 가진 필통으로, 형태가 간결하면서도 당당하다. 몸체의 외면 하단부에 한 줄의 청화 선문을 두르고, 이 위로 세 곳에 활짝 핀 난초 한 포기씩을 소박하고 세련된 필치로 그려 놓았다. 몰골(沒骨: 윤곽선을 그리지 않고 직접 대상을 그리는 화법)로 능숙하게 표현된 난초문양은 밝은 청화색으로 더욱 청초한 느낌을 준다.

유약(釉藥)은 담청(淡靑)을 머금은 백자유로 빙렬(氷裂)이 없이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어 있으며, 접지면의 안바닥을 깎아 만든 낮은 굽에는 모래받침을 한 흔적이 남아 있다.

유조(釉調)나 청화문양으로 보아 18세기 전반경 경기도 광주 금사리 가마나 이보다 조금 늦은 시기의 분원리 가마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경기도 광주의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문방구용 필통 가운데에서 형태나 문양구성, 유태(釉胎) 등이 가장 뛰어난 작품 중의 하나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국보』8 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4)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백자 청화 초화문 필통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