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려 |
---|---|
유형 | 유물 |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요약 고려 시대의 청자 매병.
내용
199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7.7㎝, 입지름 5.3㎝, 밑지름 10.6㎝.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작고 나지막한 반구형(盤口形: 아가리 부분이 직립하며 그 아래로 직각에 가깝게 꺾여 좁아드는 형태)의 입이 달린 전형적인 매병이다. 팽팽하게 벌어진 어깨가 부드럽게 S자 모양으로 흘러내려 부드러우면서도 균형이 잘 잡힌 형태를 보인다.
무늬는 음각기법만으로 표현되었는데, 어깨 위에는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 안에 연꽃이 화려하게 장식되었고, 밑둥에는 겹연판무늬와 번개무늬로 이루어진 문양대로 장식되었다. 이들 종속문양대(從屬文樣帶) 사이의 몸통 전면에는 연화절지문(蓮花折枝文)을 큼직큼직하게 네 곳에 등간격(等間隔)으로 배치하였다. 연꽃 · 연잎 · 연줄기 · 연밥 등으로 구성된 드물게 화려하고 사실적인 연꽃무늬는 윤곽은 약간 굵게, 세부는 더욱 가늘게 음각으로 처리되었다.
밝고 투명하면서 차분한 느낌을 주는 비색유약을 전면에 고르게 시유(施釉)하였으며, 가는 음각무늬를 세부까지 은은하게 잘 살려내고 있다. 굽은 안다리굽이며 굽바닥에 내화토(耐火土)받침 흔적이 희미하게 남아 있고 바닥 한 모서리에 ‘孝文(효문)’이라는 음각 명문이 있는데, 이 명문은 당시 도공(陶工)의 이름으로 추정된다. 이런 파편들이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유천리 가마터에서 여러 점 발견된 바 있다.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은 형태 · 무늬 · 유색이 우수하며, 바닥에 도공의 이름으로 여겨지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유사한 고려청자 피편들이 출토된 사례를 통해 제작지까지 파악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화재대관 - 국보 도자기 및 기타』(문화재청, 2011)
- ・ 『부안유천리요고려도자』(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3)
- ・ 『한국의 미』청자(최순우 감수, 중앙일보사, 198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고려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청자 음각 ‘효문’명 연화문 매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