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려 |
---|---|
유형 | 유물 |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요약 고려 시대의 청자 완.
개설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5.0㎝, 입지름 16.2㎝, 밑지름 4.4㎝.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내용
완의 몸체가 부드럽게 벌어져 올라가다 아가리 부분에서 외반 되었다. 전체 모습이 날렵하면서 그릇의 두께도 얇아 세련미를 드러낸다.
완의 안쪽에는 얕으면서 정교하게 양각된 연꽃과 당초문(唐草文)이 측면을 따라 잔잔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아가리 아래에도 양각의 당초문대(唐草文帶)가 새겨져 있다. 바깥면에는 몸체의 아래 위에 두 줄씩 백상감선(白象嵌線)을 둘러 문양대(文樣帶)를 설정한 뒤, 그 사이에 운학문을 상감하였다. 이 운학문은 구름과 학이 각기 구분되어 단일한 문양처럼 독립되어 시원스럽게 표현되었는데, 상감청자 전성기의 운(雲)·학(鶴)이 뒤섞여 조밀한 구성을 보이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상감기법도 얕으면서 붓으로 그린 듯 자연스럽게 처리되어 있다.
태토는 약간 짙은 회청색(灰靑色)을 보이며, 유약(釉藥)은 맑고 투명한 비색(翡色) 계통으로 전면에 자잘한 빙렬(氷裂)이 있다.굽은 다리굽으로 굽 안바닥에 규석받침 흔적이 세 곳에 남아 있다.
안팎에 각각 양각과 상감무늬가 동시에 베풀어진 보기 드문 예로, 모양과 문양이 우수할 뿐 아니라 상감청자의 초기 상황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 ・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 ・ 「청자운학문대접」(맹인재, 『고고미술』30, 한국미술사학회, 196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고려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청자 양각 연화당초 상감 운학문 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