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려 |
---|---|
유형 | 유물 |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요약 고려 시대의 청자 발우와 접시.
개설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발우의 높이 4.4∼7.3㎝, 입지름 16.1∼18.9㎝, 밑지름 5.9∼6.1㎝. 접시의 높이 2.9㎝, 입지름 14.0㎝, 밑지름 5.7㎝.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같은 형식으로 크기가 점점 작아져서 포개어 넣을 수 있는 발우 3점과 이들과 유색·문양이 같은 접시1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발우의 형태는 3점이 유사하다. 입 부분이 조금 내만(內彎)하였고 둥근 측면선이 접지면까지 이르는 평저형이다. 유약(釉藥)은 4점 모두 미세한 기포(氣泡)가 있는 투명유로서 굵은 빙렬이 있고, 부분적으로 산화되거나 용융이 불안정하다.
발우의 안쪽 바닥에 국화 한 송이가 상감되어 있고, 안쪽 측면 3부분에 꽃송이가 3개인 모란절지문이 자연스러운 형태로 세밀한 부분까지 각각 묘사되어 있다. 안쪽 입 부분에 음각선이 둘러져 있고, 바깥쪽 입 주변에는 뇌문대(雷文帶)가 백상감되었다. 바깥쪽 전면에 보상화당초(寶相花唐草)가 백상감되었고 그 아랫부분에서 굽에 이르는 면에는 연판문대가 있다.
접시는 안쪽 바닥에 두 줄의 백상감 원권(圓圈) 안에 국화문이 있으며, 측면에는 한 송이의 모란이 네 군데에 각각 표현되었다. 바깥쪽 문양은 발우와 유사하다.
발우의 바닥은 유약을 닦아내고 검은 모래가 섞인 내화토받침을 했으며, 접시도 굽의 접지면을 닦아낸 뒤 같은 받침을 하였다. 4점 모두 같은 질과 문양·형식이어서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 ・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고려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청자 상감 모란문 발우 및 접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